대만의 경제 성장이 둔화하면서 젊은 인구의 유출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타임>은 2015년 기준 1천만명 가량으로 추산되는 노동 가능 인구 가운데 72만명이 해외 취업에 나섰으며, 이 가운데 72.5%는 대졸 이상의 학력을 가진 이들이었다고 보도했다. 그 중 약 42만명(58.3%)은 중국에서 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만인들의 중국 취업 이유는 간단하다. 보다 많은 급여를 좇아서다. 대만 대졸 초임 월급은 1999년 900달러(약 102만원) 수준이었지만, 17년이 지난 지난해에도 925달러(105만원) 수준에 그쳤다. 대만의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2% 안팎이다.
그러나 중국은 경제성장률이 올 상반기에도 6.9%를 기록했다. 대만 청년들에 대한 러브콜도 이어진다. 마윈 알리바바그룹 회장은 2015년 대만 출신 창업자들을 위해 3억3000만달러 규모의 창업 지원금을 발표했다. 지난 3월 대만 위엔젠 여론조사센터의 조사 결과를 보면, 20~29살 응답자 10명 가운데 6명(59.5%)이 중국에 가서 일하거나 학업·투자 등을 하고 싶다고 답했다. 이런 대답은 전체 연령층에서도 절반이 넘었다.
이같은 현상은 예견된 것이기도 하다. 대만 경제는 수출에 의존하고 있으면서 노동집약 산업에서 첨단 산업으로의 구조조정에 성공적이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경제 분석 기관인 옥스퍼드 이코노믹스는 2012년 조사에서 “대만은 2021년 세계에서 인재 유출이 가장 심각한 나라가 될 것”이란 전망을 내놓은 바 있다. 저임금 탓에 젊은층이 결혼·출산을 늦추는 경우가 늘고 있는 대만은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 젊은층이 외국으로 잇따라 떠나면 당장 노년층 연금 수급에 영향도 우려된다.
젊은층이 중국을 향하고 경제의 중국 의존도가 높아지는 데 대한 정치적 우려도 제기된다. 지난달 중국 교육 당국은 대만 유학 비중을 줄이면서 중국 대학의 대만 학생 입학 기준은 완화시키는 조처를 취해 대만 당국로부터 반발을 산 바 있다. 중국으로의 유출은 대만의 안보와 직결된 문제라는 지적이 잇따르지만, 이미 대만 젊은층 사이에서는 “중국은 이렇게 크고, 대만은 의존도가 높으니, 언젠가는 합칠 것”이란 이야기도 나온다. 대만 정부가 일자리 창출 및 산업 구조 개혁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배경이다.
베이징/김외현 특파원
osca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