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일 중국 베이징의 화웨이 매장 앞에서 마스크를 쓴 채 우산을 쓴 남성이 매장 안을 들여다보고 있다. AP 연합뉴스
국경 충돌 등으로 중국과 갈등하고 있는 인도 정부가 화웨이를 비롯한 중국 업체의 통신장비를 자국 통신망에서 단계적으로 제거해나가기로 했다. 화웨이의 ‘5세대 이동통신’(5G) 참여도 배제될 것으로 보여, 중국-인도 갈등이 경제 분야로 확대될 조짐이다.
<파이낸셜 타임스>는 25일 인도 정부와 업계 관계자의 말을 따 “인도 정부는 이미 5세대 이동통신 사업을 비롯한 향후 투자가 필요할 때 중국 쪽 장비 사용을 피하라는 지시를 업계에 내렸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신문은 “인도 정부는 중국 쪽 반발을 우려해 화웨이와 중싱통신(ZTE) 등 중국 기업 배제를 공식 발표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휴대전화 사용자가 8억5천만명에 이르는 인도 이동통신 시장은 중국에 이어 세계 2위 규모다. 특히 샤오미 등 값싼 중국산 제품의 급격한 유입으로 스마트폰 이용자 규모에서도 이미 지난해 미국을 뛰어넘었다. 미국 시장 접근이 차단된 상태에서 인도 시장에서도 배제된다면, 화웨이엔 또 한번의 치명타가 될 수 있다는 뜻이다.
현재 인도 이동통신 시장은 삼성 쪽 장비를 사용하는 릴라이언스지오(32.99%)가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다. 뒤를 이어 바르티에어텔(28.35%)·보다폰(28.05) 등이 뒤를 쫓고 있는데, 이들은 5세대 이동통신 사업을 위해 각각 노키아·에릭손과 제휴한 상태지만 화웨이 등 중국 쪽 장비 의존도가 높아 이번 조처로 적지 않은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앞서 지난 6월15일 중국-인도 국경지대인 라다크의 갈완계곡에서 양국 군이 격렬하게 충돌해 인도군 20명이 숨지면서 인도에선 반중감정이 격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도 당국은 지난 6월 말 ‘국가안보 우려’를 내세워 틱톡·위챗 등 중국산 휴대전화 앱 59개의 사용을 금지시켜 중국의 반발을 부른 바 있다.
베이징/정인환 특파원
inhw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