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유럽

독일 공공노조 파업 7주째.. 중재안 거부

등록 2006-03-20 21:53

독일 공공서비스노조(페어디 Ver.di)의 파 업이 7주째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중재 노력이 실패로 돌아가 파업이 장기화할 우려를 낳고 있다.

중재단은 업무 영역에 따라 차별적으로 근무시간을 연장하는 방안을 제시했으나 바덴-뷔르템베르크주 공공노조와 주정부측은 모두 이 중재안을 거부했다고 독일 공영 ARD 방송이 20일 보도했다.

노조측은 중재안에 따르면 주당 근무시간이 38.5시간에서 39.1시간으로 늘어나는 것이라고 지적하고 어떤 형태의 근무시간 연장도 받아들일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사용자측도 기존의 근무시간으로는 재정이 뒷받침될 수 없다며 팽팽히 맞서고 있다고 이 방송은 전했다.

파업이 장기화하면서 쓰레기 처리 등 공공서비스에 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정부는 민간 용역회사에 쓰레기 처리를 맡기고 있다.

주정부측 협상 대표는 공공서비스 분야를 민간 업체에 더 많이 위탁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며 노조측을 압박하고 있다.

공공노조는 파업 찬반투표에서 94.5%의 압도적인 지지로 파업을 결의했으며, 지 난 달 6일부터 바덴-뷔르템베르크주를 시작으로 정부의 노동시장 연장에 항의하는 릴레이 파업 시위를 벌이고 있다.

공공노조는, 정부가 주당 노동시간을 현행 38.5시간에서 40시간으로 늘리는 것 은 공공 부문에서 25만개의 일자리를 줄이려는 의도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번 공공노조의 파업에는 전체 16개주 중 12개가 참여했으며 함부르크 등 일부 주는 근무 분야와 개별적인 사정에 따라 탄력적으로 근무시간을 조정하는 데 합의했다.


독일에서 공공부문 노조가 전국적인 규모의 파업을 벌이는 것은 지난 1992년 이 후 14년만에 처음이다.

공공노조는 파업으로 인한 주민의 불편을 줄이기 위해 전체 노조원이 한꺼번에 파업하지 않고 순차적으로 파업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송병승 특파원 songbs@yna.co.kr (베를린=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1.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2.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3.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4.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5.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