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의 노동시장 유연화 정책에 대한 학생들과 노동계의 반발이 이어지는 가운데 정부가 양보 없이 버티고 있어 쉽게 해결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양측간 팽팽한 대결이 계속되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정부가 새 법의 핵심인 최초고용계약(CPE)을 부분 수정하는 타협안을 내놓을 것이란 전망도 일고 있다.
다음은 로이터 통신이 정리한 네가지 예상 시나리오다.
◇ 정부 버티기 전략 = 도미니크 드 빌팽 총리가 반(反) CPE 열기가 가라앉고 반 CPE 진영내 분열을 기대하면서 CPE 강행을 고수한다. 반 CPE 진영이 CPE 철회파와 타협파로 갈릴 수 있다는 계산이다.
20일 리베라시옹에 보도된 여론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35%가 CPE 철회를, 38%가 수정을 원했다. 장-프랑수아 코페 정부 대변인은 이 결과를 주목했다.
그러나 빌팽 총리가 반 CPE 진영의 내분에 기댈 경우 합의 도출의 이미지가 퇴색되고 2007년 대권 가능성을 손상시키는 비난을 초래할 수 있다.
◇ 정부, 'CPE에 변화' 동의 = 총리실은 '6개월 CPE 시행뒤 노동계와 재논의' 등 다양한 옵션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항간에 떠도는 다른 아이디어에는 ▲ 단기 계약에 불이익 주기 ▲ 실업자 보다는 학생에게 인턴십 우선 부여 ▲ 의회에서 통과된 CPE법에는 26세 미만 직원을 첫 2년간은 자유롭게 해고할수 있도록 허용했으나 이 기간을 12개월로 단축하는 방안 등이 포함돼 있다.
12개월로 줄이는 마지막 방안이 성사되려면 의회에서 수정안 통과가 필요하다. 이럴 경우 정치적으로는 더욱 값비싼 대가를 치러야 한다. ◇ 헌법위원회 판결 = 좌파 의원들은 이미 CPE에 대한 위헌심판을 청구했다. CPE가 포함된 새 노동법을 채택하면서 최고 행정법원인 참사원과 논의하지 않았다는 점, CPE가 젊은이들을 차별해 헌법의 중심 원칙을 위반했다는 점, 프랑스의 국제적 의무 이행에 실패했다는 점이 위헌 요소로 지적됐다. 많은 논평가들은 "헌법위원회가 위헌 결정을 할 경우 빌팽 총리는 오히려 최소의 타격을 입으며 신속히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 CPE 철회 = 논평가들은 CPE가 철회되면 빌팽의 2007년 대선 야망이 날아가 버리고 자크 시라크 대통령이 그를 경질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빌팽 총리는 에두아르 발라뒤르 전 총리 같은 전임자들처럼 양보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의사를 명백히 밝혔다. 발라뒤르 전 총리는 1994년 직업교육중인 청년의 급료를 깎는 법을 추진하다 1개월간 시위에 부딪혀 법 제정을 포기했었다. 이성섭 특파원 leess@yna.co.kr (파리=연합뉴스)
12개월로 줄이는 마지막 방안이 성사되려면 의회에서 수정안 통과가 필요하다. 이럴 경우 정치적으로는 더욱 값비싼 대가를 치러야 한다. ◇ 헌법위원회 판결 = 좌파 의원들은 이미 CPE에 대한 위헌심판을 청구했다. CPE가 포함된 새 노동법을 채택하면서 최고 행정법원인 참사원과 논의하지 않았다는 점, CPE가 젊은이들을 차별해 헌법의 중심 원칙을 위반했다는 점, 프랑스의 국제적 의무 이행에 실패했다는 점이 위헌 요소로 지적됐다. 많은 논평가들은 "헌법위원회가 위헌 결정을 할 경우 빌팽 총리는 오히려 최소의 타격을 입으며 신속히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 CPE 철회 = 논평가들은 CPE가 철회되면 빌팽의 2007년 대선 야망이 날아가 버리고 자크 시라크 대통령이 그를 경질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빌팽 총리는 에두아르 발라뒤르 전 총리 같은 전임자들처럼 양보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의사를 명백히 밝혔다. 발라뒤르 전 총리는 1994년 직업교육중인 청년의 급료를 깎는 법을 추진하다 1개월간 시위에 부딪혀 법 제정을 포기했었다. 이성섭 특파원 leess@yna.co.kr (파리=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