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유럽

007 타고 온 ‘턱수염 열풍’

등록 2006-12-21 18:26수정 2006-12-22 17:09

‘턱수염 열풍’
‘턱수염 열풍’
자유·반문화 넘어 부드러움 상징…영국신사들 ‘늦바람’
‘수염을 깎지마?’

요즈음 면도를 할 때면, 자꾸 이런 생각이 듭니다. 왠지 멋있어 보이더라고요. ‘늦바람’이죠. 이미 2004년 턱수염을 기르는 게 유행이었고, 이제 익숙해졌으니까. 영국에서도 남자들이 저처럼 늦바람이 났나 봅니다. 영국 권위지 <가디언>이 13일치에서 “갑자기 온통 턱수염이다”, “턱수염에 열광하고 있다”는 기사를 썼습니다.

한국의 턱수염 바람은 김민준, 에릭, 소지섭, 이동건 등이 2003년부터 서서히 몰고왔죠. 영국에서는 <007 시리즈-카지노 로얄>의 새 제임스 본드로 등장한 영화배우 다니엘 크레이그 영향이 컸다네요. 특히 내년 말에 개봉할 영화 <황금 나침반>의 첫 촬영분이 막 공개됐는데, 그가 끝내주는 “21세기형 턱수염”까지 선보였다는군요.

“멋진 남자라면 수염을 길러보라”는 말이 맞는 걸까요? 올해 영국 최고 패션점 상을 탄 가게주인은 가디언에 “가게를 찾는 남자의 약 40%가 어떤 형태든 턱수염을 길렀다”고 말했습니다. 가디언 표현대로라면, “턱수염이 1960년대는 자유롭게 살고 사랑하는 급진적 반문화의 상징”이었지만, 이제는 “면도기를 던져 버릴 때”라네요. “깨끗하게 면도를 한 모습은 너무 순응적”이지만,“턱수염은 왠지 산뜻한 느낌”을 주고 패션 선택의 폭도 넓혀주는 게 유행을 타는 이유라는군요. 자유로워진 직장의 규정 덕도 보고 있고요. 수염은 남성다움의 상징 아닙니까? 이제는 “오히려 부드러움의 상징”이라네요. 하지만, 여전히 턱수염을 길렀다가는 공항 등에서 의심을 받는 게 현실이라고 합니다. 어떻게, 저랑 같이 턱수염 한번 길어보실래요?

김순배 기자 marco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1.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2.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3.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4.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5.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