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이 5명 중 1명, 정부 보조금 지원 받아
교육을 받지않고 직장이 없으며 직업훈련도 받지않는 이른바 '니츠'(Neets) 청년층으로 인해 영국이 연간 수십억파운드의 경제적 손실을 치르고 있다고 텔레그래프 인터넷판이 10일 보도했다.
런던 정경대학 왕자자선기금의 조사에 따르면 2005년 16-24세의 영국 젊은이 가운데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9%였으나 '니츠'의 비율은 이것의 약 2배인 120만명에 달했다. 독일 4.6%, 프랑스 3.4%를 크게 웃도는 것이다.
특히 젊은이 5명중 1명 꼴로 정부 지원을 받고 있고 범죄의 위험에 노출돼 있으며 교육 면에서도 기대를 크게 밑도는 수준에 직면해 있다고 기금은 지적했다.
'배제의 비용'이라는 이름의 이 조사는 '청년층 배제'로 인해 영국 국고에서 연간 36억5천만 파운드가 새고 있다며 이는 전체 소득세의 1%에 해당한다고 지적했다.
기금의 마티나 밀번 이사는 "니츠 문제는 영국 사회로 하여금 막대한 경제적 비용을 치르게하고 있다"며 "특히 이들 숫자는 매우 보수적으로 잡힌 것이기 때문에 진짜 비용은 훨씬 클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니츠'에 포함된 젊은이들이 스스로에 대한 자신감과 믿음을 잃고 환멸을 느끼는 것도 문제점으로 꼽았다.
런던 정경대 산하 경제실행센터 연구진들도 청년범죄로 인해 연간 10억 파운드, 교육적 성취미달로 인해 연간 180억 파운드, 실업수당의 지출로 한주에 2천만 파운드의 비용을 영국 정부가 치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청년 실업과 범죄를 줄인다면 각각 주당 9천만 파운드, 200만 파운드의 예산이 절약될 것으로 덧붙였다.
연구진들은 "영국의 실업률은 한세대를 통들어 가장 낮은 수준이지만 이러한 번영에는 중요한 숫자가 빠져있다"며 "젊은이들을 재고용하고 이들이 인생을 바꿀 수 있도록 도와주면 영국 경제가 매년 수십억 파운드를 절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노동연금부 대변인은 영국 정부가 18-24세 청년 70만명의 구직을 돕고 있으며 도심 저소득층 지역 젊은이들을 겨냥한 복지개혁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영국 정부는 오는 2015년부터 18세 이하 청소년들이 학교를 그만두고나 직업훈련을 받지 않을 경우 50파운드의 벌금을 물리기로 했다고 상기시켰다.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