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프랑스 대선 결선에서 패한 사회당의 세골렌 루아얄 후보는 지난해까지만 해도 첫 여성 대통령의 꿈에 바짝 다가서는 듯했으나, 올해들어 부진을 겪은 끝에 결국 강력한 우파 후보 니콜라 사르코지의 벽을 넘지 못했다.
루아얄은 자크 시라크 대통령의 12년 통치 끝에 변화를 갈망하는 여론의 관심을 한 몸에 받았으나, 개인적.정치적 역량의 부족을 드러내며 시대적 조류를 집권으로 연결시키지 못했다.
그는 올해 초 해외 순방에서 잇따라 말 실수를 했고, 사회당내 내분에 시달렸으며, 외교.안보 분야에서 특히 취약하다는 비판과 함께 대통령 감이 못된다는 지적을 끊임없이 받았다.
그는 인터넷과 현장에서 대중과 접촉하는 '참여 민주주의' 방식의 새 정치를 선보였는데, 이런 배경 때문에 루아얄은 실력 없이 인기에 영합한다는 비판도 들었다.
그는 다른 나라의 대부분 여성 정치인들과는 달리 자신이 여성이라는 점을 적극 부각시키는 차별성을 보였다.
루아얄이 누린 인기의 배경에는 프랑스 정계를 지배해온 남성 정치인들과 대비되는 여성 특유의 강점이 자리한다. 세련된 외모의 그는 4자녀의 어머니 역할을 충실히 하면서도 정치적으로도 성공한 점이 대중의 호감을 샀다.
남성 위주의 정치판에 싫증난 대중이 신선한 인물과 정책을 원하는 현상도 루아얄이 부상한 배경 중 하나다.
그러나 이런 분위기로 인해, 루아얄은 남성 후보에게 요구되는 수준보다 더 까다로운 자격 기준을 적용받는 불리한 상황에 놓이기도 했다.
루아얄은 지지도에서 지속적으로 뒤지던 지난 2일 TV토론에서 공세적으로 나오며 반전을 시도했으나 오히려 지나치게 흥분했다는 지적을 받으며 판세를 뒤집는데 실패했다. 루아얄은 프랑수아 미테랑의 사회당 정권 때 정계에 입문한 뒤 엘리트 코스를 거친 정치인이다. 1953년 세네갈에서 프랑스 육군 대령의 딸로 태어난 뒤 엘리트 관료 양성기관인 국립행정학교(ENA)를 졸업했다. 미테랑의 발탁으로 1992년 이래 가족 장관과 환경 장관을 역임하며 전통적인 가족가치 수호와 아동 보호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ENA 동기인 프랑수아 올랑드 사회당 전국서기와 함께 정식 결혼이 아닌, 법적으로 보장받는 파트너 형태로 살고 있다. 이성섭 특파원 leess@yna.co.kr (파리=연합뉴스)
루아얄은 지지도에서 지속적으로 뒤지던 지난 2일 TV토론에서 공세적으로 나오며 반전을 시도했으나 오히려 지나치게 흥분했다는 지적을 받으며 판세를 뒤집는데 실패했다. 루아얄은 프랑수아 미테랑의 사회당 정권 때 정계에 입문한 뒤 엘리트 코스를 거친 정치인이다. 1953년 세네갈에서 프랑스 육군 대령의 딸로 태어난 뒤 엘리트 관료 양성기관인 국립행정학교(ENA)를 졸업했다. 미테랑의 발탁으로 1992년 이래 가족 장관과 환경 장관을 역임하며 전통적인 가족가치 수호와 아동 보호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ENA 동기인 프랑수아 올랑드 사회당 전국서기와 함께 정식 결혼이 아닌, 법적으로 보장받는 파트너 형태로 살고 있다. 이성섭 특파원 leess@yna.co.kr (파리=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