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호황 힘입어 주요도시 출산율 급증
지원금 보육시설 확충 등 출산장려대책 빛 봐
지원금 보육시설 확충 등 출산장려대책 빛 봐
독일이 출산율 증가에 들뜨고 있다.
독일 서부 공업도시 뒤셀도르프는 지난 1분기에 태어난 신생아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나 늘어났다. 곳의 3대 병원 가운데 하나인 카이저베르더 디아코니에서는 올해 상반기 신생아 출산이 16% 이상 많아졌다. 쾰른은 10.6%, 뮌헨 9.5%, 보쿰은 6.7% 등 다른 대도시의 출산율도 증가하고 있다. 독일 일간 <디벨트>는 “새로운 베이비붐”을 예상했다.
독일에 이런 희소식이 없다. 독일은 2005년 합계출산율(여성이 평생 낳는 평균 출생아 수) 1.34명으로, 유럽연합 평균 1.52명보다 크게 뒤진다. 현재 8200만명인 인구가 2050년에는 6900만명으로 줄어들어, 연금 등 사회복지 시스템이 무너질 것이라는 우려가 잇따랐다.
출산율 증가에는 ‘제2의 경제기적’이라는 독일의 경제 호황이 단단히 한몫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소득증가에 대한 기대가 출산율 증가로 이어졌다고 보고 있다. 특히, 뒤셀도르프같은 산업중심지는 경기 활황으로 젊은층이 몰려든 것도 한 원인이다.
독일 정부의 적극적인 출산장려책도 빛을 보고 있다. 출산 뒤 집에서 아이를 돌보면, 올해부터 월급의 67%, 매달 최고 1800유로(약 230만원)의 지원금을 12~14개월까지 준다. 파격적 지원이 임신과 출산 증가를 이끌어내고 있는 것이다. 독일 정부는 국내총생산의 3%, 한해 약 600억유로를 가족정책에 쏟아붓고 있으며, 이 가운데 70%가 가족에 직접 지원된다.
<파이낸셜타임스>는 13일 과감한 보육시설 확충도 여성들이 일을 위해 출산을 포기하는 사례를 줄이고 있다고 전했다. 여기에 지난해 6~7월 독일에서 벌어진 월드컵의 흥겨운 분위기 속에서 임신한 ‘월드컵 베이비’의 출산까지 더해지고 있다.
유럽은 오래 전부터 출산율 감소로 고민해왔다. 유럽연합(25개 회원국 기준)의 인구는 1960년 세계 인구의 12.5%를 차지했지만, 2004년 7.2%로 크게 줄었다. 하지만, 꾸준한 출산장려책은 3~4년 전부터 서서히 출산율을 반전시켰다. 프랑스는 지난해 출산율이 32년 만에 처음으로 2.0을 기록했다. 출산율이 1.32(2004년)에 그치고 있는 스페인은 이달 초 신생아에게 2500유로의 ‘출산 보너스’를 지급한다고 밝혔다. 김순배 기자 marco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