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기에가 단일 국가로 살아남을지 의문이다.”
<가디언>의 일요판 <옵저버> 2일치 기사처럼, 벨기에가 총선 뒤 175일째 새 정부를 구성하지 못하면서 언어권별 ‘남북 분리’ 논란이 커지고 있다. 차기 총리로 유력했던 이브 레테름 네덜란드어권 기독민주당 당수는 1일 알베르 2세 국왕에게 정부 구성을 위한 연정 협상을 이끄는 데 지쳤다며 사의를 표명해 받아들여졌다. 사회보장과 조세 정책 등에서 언어권별 자치권 확대를 둘러싼 논란에 합의를 보지 못해, 연정협상을 성사시킬 수 없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벨기에는 지난 6월10일 총선에서 네덜란드어를 쓰는 북부 기독민주당이 집권연정을 무너뜨리고 제1당이 되면서 시작된 정치적 위기에 또 하나의 대형 악재가 터졌다. 새 정부가 출범되기 전까지는 총선 패배로 물러나야 되는 기 베르호프스타트 현 과도내각이 일상적 업무를 수행하지만, 내년 예산안 등 주요 국가업무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네덜란드어권으로 인구 60%를 차지하는 북부 플랑드르 지역과 프랑스어권으로 인구 40%를 차지하는 남부 왈로니 지역의 ‘분리 독립’ 목소리가 다시 커지고 있다. 가뜩이나 언어권별로 철저하게 나눠져 국가 개념이 희박하고, 북부의 경제수준이 남부보다 훨씬 높아 불만이 쌓여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수도인 브뤼셀 및 국가부채 분리 등 난재가 산적해 실제 국가 분리는 어려울 것이라는 평가다.
김순배 기자 marco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