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비준 거쳐 2009년 1월 발효 전망
바로수 "낡은 대륙에서 새 유럽 탄생"
바로수 "낡은 대륙에서 새 유럽 탄생"
유럽연합(EU) 27개 회원국 정상들이 13일 포르투갈 리스본의 한 수도원에서 모임을 갖고 새 개정조약인 `리스본 조약'에 공식 서명했다.
새 조약은 지난 2005년 프랑스와 네덜란드 국민투표에서 부결된 EU 헌법을 대체하기 위한 것으로 국민투표를 피하기 위해 EU에 초국가적 지위를 부여하는 국가와 국기, 공휴일 등 상징에 관한 조항을 삭제했다.
하지만 EU 대통령과 외교총책을 신설하고 의사결정과정을 좀 더 효율화하는 등 기존 헌법의 핵심 내용을 그대로 담고 있어 국제무대에서 EU를 `하나의 유럽'이란 거대 정치공동체로 부상시키는 계기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27개 회원국 정상이 6개월마다 돌아가며 맡는 순회의장직을 대신해 상임의장직으로 신설되는 EU 대통령엔 토니 블레어 전 영국총리 등 후보들이 벌써부터 거명되고 있다. EU 대통령의 임기는 2년6개월이고 1회 연임이 허용된다.
지난 3월25일 창설 50주년을 맞은 EU는 27개 회원국에 세계 최대 단일시장을 갖춘 `경제공동체'로 성장했다.
정상들은 새 조약으로 날개를 달은 EU가 이제 경제통합을 넘어 `하나의 유럽'이란 거대 정치공동체로 거듭나기 위한 길로 힘차게 들어설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주제 마누엘 바로수 EU 집행위원장은 "이 낡은 (유럽) 대륙에서 새로운 유럽이 탄생했다"면서 EU 지도자들에게 모든 유럽 시민들의 자유와 번영, 그리고 단결을 위해 새 조약을 활용할 것을 촉구했다. 순회의장국인 포르투갈의 주제 소크라테스 총리도 "세계는 더 강한 유럽을 필요로 하고 있다"면서 새 조약을 계기로 더 현대적으로 효율적이고 민주적인 유럽연합이 탄생할 것이라고 말했다. 새 조약은 오는 2008년 27개 회원국의 비준을 거쳐 2009년 1월 발효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로선 아일랜드만 국민투표를 실시할 예정이고 나머지는 의회 비준을 선택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국민투표 실시를 저울질했던 덴마크는 의회에서 새 조약을 비준키로 했다고 안데르스 포그 라스뮈센 총리가 11일 밝혔다. 하지만 영국 등 일부 국가에서 야당 등이 국민투표 실시 압박을 가하고 있고 일부 회원국에선 의회비준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어 비준과정에서도 진통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날 서명식엔 영국의 고든 브라운 총리를 제외한 27개 회원국의 대통령과 총리, 그리고 외무장관들이 모두 참석했다. 브라운 총리는 오전 런던 의회에서의 일정을 마친 후 점심 때 리스본에 도착해 따로 조약에 서명했으나 새 조약에 대한 자국내 반대 여론을 지나치게 의식한 행동이 아니냐는 비난을 사기도 했다. 정상들은 서명식을 마친 후 브뤼셀로 이동해 오는 14일까지 이틀간의 정례 정상회의 일정을 소화할 예정이다. 이상인 특파원 sangin@yna.co.kr (브뤼셀=연합뉴스)
주제 마누엘 바로수 EU 집행위원장은 "이 낡은 (유럽) 대륙에서 새로운 유럽이 탄생했다"면서 EU 지도자들에게 모든 유럽 시민들의 자유와 번영, 그리고 단결을 위해 새 조약을 활용할 것을 촉구했다. 순회의장국인 포르투갈의 주제 소크라테스 총리도 "세계는 더 강한 유럽을 필요로 하고 있다"면서 새 조약을 계기로 더 현대적으로 효율적이고 민주적인 유럽연합이 탄생할 것이라고 말했다. 새 조약은 오는 2008년 27개 회원국의 비준을 거쳐 2009년 1월 발효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로선 아일랜드만 국민투표를 실시할 예정이고 나머지는 의회 비준을 선택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국민투표 실시를 저울질했던 덴마크는 의회에서 새 조약을 비준키로 했다고 안데르스 포그 라스뮈센 총리가 11일 밝혔다. 하지만 영국 등 일부 국가에서 야당 등이 국민투표 실시 압박을 가하고 있고 일부 회원국에선 의회비준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어 비준과정에서도 진통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날 서명식엔 영국의 고든 브라운 총리를 제외한 27개 회원국의 대통령과 총리, 그리고 외무장관들이 모두 참석했다. 브라운 총리는 오전 런던 의회에서의 일정을 마친 후 점심 때 리스본에 도착해 따로 조약에 서명했으나 새 조약에 대한 자국내 반대 여론을 지나치게 의식한 행동이 아니냐는 비난을 사기도 했다. 정상들은 서명식을 마친 후 브뤼셀로 이동해 오는 14일까지 이틀간의 정례 정상회의 일정을 소화할 예정이다. 이상인 특파원 sangin@yna.co.kr (브뤼셀=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