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영국 외교공방...제2라운드 돌입
러시아 정부의 폐쇄령을 무시하고 14일 문을 열었던 상트 페테르부르크 소재 영국문화원이 16일 다시 활동을 중단키로 결정했다고 로이터 통신 등이 문화원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 관계자는 "상트 페테르부르크 문화원에 근무하는 러시아 직원들이 러시아 당국에 모두 불려가 물리적으로 일을 할 수 없다고 판단, 잠정 폐쇄키로 했다"고 밝혔다.
영국문화원 측은 또 "전날밤 러시아 연방보안국(FSB) 등에서 예카테린부르크와 상트페테르부르크 소재 2개 문화원 내 러시아 직원들을 면담한 뒤 이날 다시 추가로 불러갔다"면서 "우리의 관심사는 오직 러시아와 영국 직원 모두의 안전"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영국문화원측은 전날 상트 페테르부르크 문화원 스티븐 키녹 원장을 러시아 경찰이 연행, 한동안 구금했었다며 러시아 정부에 강력 항의했다.
그러나 키녹 원장은 이번 사태와 무관하게 음주운전 혐의로 경찰에 연행됐다고 인테르팍스 통신이 경찰 관리의 말을 인용, 보도했다.
이와 관련 FSB도 이날 성명을 내고 "영국 당국의 `도발 게임'에서 러시아 직원들이 `도구'로 사용되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면담을 결정한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예카테린부르크와 상트 페테르부르크 문화원에는 각각 21명과 6명의 러시아 직원들이 근무하고 있다.
이날 상트 페테르부르크 문화원의 업무 중단으로 러시아 주재 영국문화원 2곳의 폐쇄를 둘러싼 러시아와 영국 정부간 외교 공방이 제2라운드에 들어서게 됐다. 러시아 외무부는 전날 이들 문화원이 폐쇄령을 무시하고 업무를 재개한 데 대해 `고의적 도발' 행위로 규정하면서 토니 브렌튼 주러 영국 대사를 소환, 문화원 직원들에 대한 비자 발급 거부와 모스크바 소재 문화원에 대해서도 추가 폐쇄 조치를 내릴 수 있음을 경고했다. 하지만 브렌튼 대사는 "러시아 정부가 취한 일련의 조치가 양국관계를 더 악화시킬 수 있으며 교육.문화 프로그램을 맡고 있는 문화원을 정치 문제로 끌어들인 것은 러시아측의 큰 실수"라면서 러시아 정부의 조치에 강력 항의했다 이번 사태는 러시아 외무부가 세금법 위반 등을 이유로 1월 1일자로 두 곳의 문화원에 대해 폐쇄령을 내렸으나 영국문화원 측은 이를 무시하고 신년휴가를 마친 후 각각 활동을 재개하면서 비롯됐다. 러시아 당국은 영국문화원이 세금을 내야 하는 수익성 기구라고 주장하며 수 년 동안 압박을 가해왔으며 일부 관리들은 외국 비정부기구들이 러시아 정치에 개입하고 있으며, 반정부 활동을 조직하려 한다고 의심하고 있다. 반면 영국문화원 측은 세금법을 철저히 준수하고 있고, 1990년대 서명한 협정에 따라 합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반박하고 있다. 데이비드 밀리반드 장관은 이날 "영국문화원에 대한 공격의 패자(敗者)는 결국 러시아 국민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영국 외무부는 이날 유리 페도토프 런던 주재 러시아 대사를 불러 이번 사태를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유럽연합(EU)의장국인 슬로베니아는 이날 성명을 통해 "러시아 정부가 영국문화원 폐쇄를 재고해 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영국 정부는 이번 문화원 사태가 지난 2006년 11월 런던에서 발생한 알렉산드르 리트비넨코 전 국가안보위원회(KGB) 요원이 독살 사건과 무관하지 않다는 주장이다. 양국 관계자는 영국 사법당국이 사건 용의자로 지목된 안드레이 루고보이의 송환을 러시아 정부에 요구했으나 러시아가 이를 거절하면서 악화하기 시작, 지난해 7월 양국 정부간 외교관 맞추방 사태로 최악의 국면을 맞았었다. 남현호 특파원 hyunho@yna.co.kr (모스크바=연합뉴스)
이날 상트 페테르부르크 문화원의 업무 중단으로 러시아 주재 영국문화원 2곳의 폐쇄를 둘러싼 러시아와 영국 정부간 외교 공방이 제2라운드에 들어서게 됐다. 러시아 외무부는 전날 이들 문화원이 폐쇄령을 무시하고 업무를 재개한 데 대해 `고의적 도발' 행위로 규정하면서 토니 브렌튼 주러 영국 대사를 소환, 문화원 직원들에 대한 비자 발급 거부와 모스크바 소재 문화원에 대해서도 추가 폐쇄 조치를 내릴 수 있음을 경고했다. 하지만 브렌튼 대사는 "러시아 정부가 취한 일련의 조치가 양국관계를 더 악화시킬 수 있으며 교육.문화 프로그램을 맡고 있는 문화원을 정치 문제로 끌어들인 것은 러시아측의 큰 실수"라면서 러시아 정부의 조치에 강력 항의했다 이번 사태는 러시아 외무부가 세금법 위반 등을 이유로 1월 1일자로 두 곳의 문화원에 대해 폐쇄령을 내렸으나 영국문화원 측은 이를 무시하고 신년휴가를 마친 후 각각 활동을 재개하면서 비롯됐다. 러시아 당국은 영국문화원이 세금을 내야 하는 수익성 기구라고 주장하며 수 년 동안 압박을 가해왔으며 일부 관리들은 외국 비정부기구들이 러시아 정치에 개입하고 있으며, 반정부 활동을 조직하려 한다고 의심하고 있다. 반면 영국문화원 측은 세금법을 철저히 준수하고 있고, 1990년대 서명한 협정에 따라 합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반박하고 있다. 데이비드 밀리반드 장관은 이날 "영국문화원에 대한 공격의 패자(敗者)는 결국 러시아 국민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영국 외무부는 이날 유리 페도토프 런던 주재 러시아 대사를 불러 이번 사태를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유럽연합(EU)의장국인 슬로베니아는 이날 성명을 통해 "러시아 정부가 영국문화원 폐쇄를 재고해 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영국 정부는 이번 문화원 사태가 지난 2006년 11월 런던에서 발생한 알렉산드르 리트비넨코 전 국가안보위원회(KGB) 요원이 독살 사건과 무관하지 않다는 주장이다. 양국 관계자는 영국 사법당국이 사건 용의자로 지목된 안드레이 루고보이의 송환을 러시아 정부에 요구했으나 러시아가 이를 거절하면서 악화하기 시작, 지난해 7월 양국 정부간 외교관 맞추방 사태로 최악의 국면을 맞았었다. 남현호 특파원 hyunho@yna.co.kr (모스크바=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