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집행위, 사상 첫 방사능 누출 경보 발동
슬로베니아 원자력 발전소에서 냉각수가 유출되는 사고를 계기로 유럽연합(EU)에서 원자력의 안전을 둘러싼 논란이 재연되고 있다.
슬로베니아는 4일 남서부에 위치한 크르스코 원자력 발전소에서 냉각수가 유출되는 사고가 일어났으나 안전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경미한 사고라고 밝혔다.
하지만 EU 집행위원회는 1987년 우크라이나 체르노빌 원전 폭발사고 이후 도입된 유럽공동체 긴급 방사능 정보교환 시스템(ECURIE)에 따라 27개 회원국들에 사상 처음 방사능 누출 경보를 발동했다.
집행위의 경보 발동을 놓고 경미한 사고에 경보까지 울릴 필요가 있느냐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지만 정작 집행위는 원자력 분야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였으며 다음에도 비슷한 사건이 재발될 경우 경보를 발동할 것이라고 말했다.
페란 타라델라스 집행위 대변인은 5일 브리핑에서 "공포의 씨앗을 뿌리려 했던 것은 아니다"라면서 원자력 분야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였음을 강조했다.
이번 유출 사고를 계기로 오스트리아 등 일부 회원국들은 안전성에 문제가 있는 원자력 발전을 재고해야 한다면서 원전의 안전성 문제를 다시 끄집어냈다.
요세프 프뢸 오스트리아 환경장관은 5일 룩셈부르크에서 열린 EU 환경장관 회의에서 "이번 사고는 원자로가 유럽 시민들에 불필요한 위험을 안길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면서 유럽내 원전들을 폐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야네즈 포도브닉 슬로베니아 환경장관은 "사고 이후 완벽히 상황을 통제하고 있다"면서 환경과 인명에 위협이 되지 않는 경미한 누출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시그마르 가브리엘 독일 환경장관은 "방사능 관련 누출 사고는 심각한 사건으로 간주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환경단체인 그린피스도 성명에서 EU 회원국들에 원전을 추가로 건설하지 말 것을 촉구했다.
이 같은 논란은 최근 고유가 시대를 맞아 프랑스, 체코, 슬로바키아 등 EU 회원국들이 원자력 발전이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는 청정연료에 해당된다면서 추가 원전건설에 눈을 돌리고 있는 상황에서 나온 것이어서 주목된다.
(브뤼셀=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