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반정부 파업확산]
프랑스 총파업 “정부 부양책, 기업만 보호”
사르코지 최대위기…그리스·독일도 정국불안 증폭 ‘검은 목요일.’ 프랑스 노동총동맹(CGT) 등 프랑스 8개 노조 약 1백만여명이 고용안정 등을 촉구하며 29일 하루 총파업을 벌였다. 현지 언론들이 ‘검은 목요일’로 부른 이날 파업은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이 2007년 5월 취임한 이후 최대 규모의 반정부 행동이다. <로이터> 통신은 “경제위기로 촉발된 대규모 항의시위가 주요 선진국에서도 일어난 첫 사례”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공공 부문 노동자 500만명 가운데 약 23%가 참여한 29일 파업으로 프랑스 전국 80여 곳의 공공 서비스 기능이 상당 부분 마비됐고, 200여 곳에서 시위가 벌어졌다. 파리 오를리 공항에선 3분의 1가량의 항공편이 취소됐고, 프랑스 고속철도 테제베(TGV)의 60%만이 운행됐다. 지하철과 통근기차, 버스 등도 15~25% 운행이 중단돼, 일부 파리 시민들은 추운 날씨에도 자전거나 도보, 보트를 이용해 출근길에 나섰다. 또 학교와 은행, 병원, 우체국, 법원, 방송사 등의 직원들도 파업에 동참했고, 극장들도 공연을 취소했다. 일부에선 2006년 정부의 ‘최초고용계약법’으로 300만명이 거리로 나섰던 때보다 분노가 더 광범위하게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가디언>은 “지난 몇달간 쌓인 사회적 불만이 표출된 것”이라고 평했다. 프랑스 은행 크레디에그리콜에서 일하는 리오넬 망섕은 “은행 직원들이 이런 파업에 동참한 것은 매우 드문 일”이라고 말했다. <르파리지앵>이 실시한 여론조사에선 프랑스 국민의 69%가 이번 파업을 지지하거나 동조했다. 이날 파업은 정부가 경제위기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는 성난 민심에서 촉발됐다. 올해 프랑스의 경제성장률은 -1.8%로 추락하고, 실업률은 9.8%로 치솟을 전망이다. 지난해말 사르코지 대통령은 350억달러(약 48조원)에 달하는 경기부양책을 발표했지만, 투자 촉진과 기업 보호에 치우쳤다는 비판을 받았다. 8개 노조는 “정부와 기업이 경제위기를 해고와 임금 삭감의 구실로 삼고 있다”며 “일자리 안정을 최우선 순위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교직원 감축 등 정부의 공공부문 축소 계획 철회도 요구했다. 하지만, 프랑스 정부는 강경 태도를 고수했다. 에리크 뵈르트 예산부 장관은 이날 “우리는 개혁정책과 회생계획을 갖고 있고, 파업을 위기해결책이 아니다. 공무원 숫자가 너무 많다”며 사르코지 대통령의 공공분야 구조조정 계획을 지지했다. 앞서 26일 아이슬란드 연립정부가 금융위기의 직격탄을 맞아 붕괴되는 등 유럽 곳곳에서 경제위기가 사회불안으로 옮겨붙고 있다. 28일 그리스에선 공공부문 노조들이 정부의 연금개혁에 반대하며 반나절 동안 파업을 벌였고, 농산물 가격 폭락에 항의하는 농민 수천명도 고속도로를 봉쇄했다. 지난해 말 격렬한 반정부 시위가 벌어진 데 이어, 다시 정국 불안이 증폭될 조짐이다. 독일 국영 철도회사인 도이체 반의 노동자들도 29일 임금인상 등을 요구하며 베를린과 함부르크, 뮌헨 등 9개 도시에서 파업을 벌였다. <포린 폴리시> 온라인판은 28일 아이슬란드와 비슷한 위기에 처할 수 있는 나라로 라트비아, 영국, 그리스, 우크라이나, 니카라과를 꼽았다.
황보연 기자 whynot@hani.co.kr
사르코지 최대위기…그리스·독일도 정국불안 증폭 ‘검은 목요일.’ 프랑스 노동총동맹(CGT) 등 프랑스 8개 노조 약 1백만여명이 고용안정 등을 촉구하며 29일 하루 총파업을 벌였다. 현지 언론들이 ‘검은 목요일’로 부른 이날 파업은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이 2007년 5월 취임한 이후 최대 규모의 반정부 행동이다. <로이터> 통신은 “경제위기로 촉발된 대규모 항의시위가 주요 선진국에서도 일어난 첫 사례”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공공 부문 노동자 500만명 가운데 약 23%가 참여한 29일 파업으로 프랑스 전국 80여 곳의 공공 서비스 기능이 상당 부분 마비됐고, 200여 곳에서 시위가 벌어졌다. 파리 오를리 공항에선 3분의 1가량의 항공편이 취소됐고, 프랑스 고속철도 테제베(TGV)의 60%만이 운행됐다. 지하철과 통근기차, 버스 등도 15~25% 운행이 중단돼, 일부 파리 시민들은 추운 날씨에도 자전거나 도보, 보트를 이용해 출근길에 나섰다. 또 학교와 은행, 병원, 우체국, 법원, 방송사 등의 직원들도 파업에 동참했고, 극장들도 공연을 취소했다. 일부에선 2006년 정부의 ‘최초고용계약법’으로 300만명이 거리로 나섰던 때보다 분노가 더 광범위하게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가디언>은 “지난 몇달간 쌓인 사회적 불만이 표출된 것”이라고 평했다. 프랑스 은행 크레디에그리콜에서 일하는 리오넬 망섕은 “은행 직원들이 이런 파업에 동참한 것은 매우 드문 일”이라고 말했다. <르파리지앵>이 실시한 여론조사에선 프랑스 국민의 69%가 이번 파업을 지지하거나 동조했다. 이날 파업은 정부가 경제위기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는 성난 민심에서 촉발됐다. 올해 프랑스의 경제성장률은 -1.8%로 추락하고, 실업률은 9.8%로 치솟을 전망이다. 지난해말 사르코지 대통령은 350억달러(약 48조원)에 달하는 경기부양책을 발표했지만, 투자 촉진과 기업 보호에 치우쳤다는 비판을 받았다. 8개 노조는 “정부와 기업이 경제위기를 해고와 임금 삭감의 구실로 삼고 있다”며 “일자리 안정을 최우선 순위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교직원 감축 등 정부의 공공부문 축소 계획 철회도 요구했다. 하지만, 프랑스 정부는 강경 태도를 고수했다. 에리크 뵈르트 예산부 장관은 이날 “우리는 개혁정책과 회생계획을 갖고 있고, 파업을 위기해결책이 아니다. 공무원 숫자가 너무 많다”며 사르코지 대통령의 공공분야 구조조정 계획을 지지했다. 앞서 26일 아이슬란드 연립정부가 금융위기의 직격탄을 맞아 붕괴되는 등 유럽 곳곳에서 경제위기가 사회불안으로 옮겨붙고 있다. 28일 그리스에선 공공부문 노조들이 정부의 연금개혁에 반대하며 반나절 동안 파업을 벌였고, 농산물 가격 폭락에 항의하는 농민 수천명도 고속도로를 봉쇄했다. 지난해 말 격렬한 반정부 시위가 벌어진 데 이어, 다시 정국 불안이 증폭될 조짐이다. 독일 국영 철도회사인 도이체 반의 노동자들도 29일 임금인상 등을 요구하며 베를린과 함부르크, 뮌헨 등 9개 도시에서 파업을 벌였다. <포린 폴리시> 온라인판은 28일 아이슬란드와 비슷한 위기에 처할 수 있는 나라로 라트비아, 영국, 그리스, 우크라이나, 니카라과를 꼽았다.
황보연 기자 whyno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