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유럽

[블로그] 하이델베르크의 숨은 명소(1). 하일리겐베르크

등록 2009-11-23 14:48

하이델베르크 하면 사람들은(특히 한국과 일본 관광객들은) 대개 하이델베르크 성을 떠올린다. 그밖에는 고작해야 철학자의 길과 학생감옥, 구다리, 붉은황소 등이 소위 '찍고 턴'하기로 유명한 아시아 관광객들이 아는 전부일 것이다.

내가 하이델베르크에 처음 와 본 것은 2001년 배낭여행 중이었다. 그땐 우연히 만나 동행했던 한국인 언니를 따라 멋도 모르고 와서는 성에 한 번, 철학자의 길 한 번 올라갔다가 기차타고 이곳을 떴다. 동행했던 언니가 일정이 촉박해서 좀 급했던 모양인데, 너무 빨리 스쳐 지나가서인지 그 아름답다는 하이델베르크에 별 감흥을 느낄 새도 없었다.

남편과 내가 하이델베르크로 이사온 때는 2005년이었다. 실은 전에 다니던 프라이부르크 대학교가 우리에게 잘 맞지 않아 하이델베르크로 옮긴 것뿐인데, 이사하고 나서는 이곳이 너무 마음에 들어 당분간 다른 곳으로 이사할 생각이 싹 사라졌다.

하이델베르크는 대학도시이자 관광도시로 유명하지만 근교에는 의외로 산업단지도 많고 인프라 시설도 잘 구축되어 있다. 내게 아주 중요한 강(Neckar)이 흐르고 남편에게 아주 중요한 산(Odenwald)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프랑크푸르트 국제공항은 차로 한 시간도 안 걸리고 쇼핑하기 좋은 만하임도 기차로 15분 거리에 있다.

젊을 때는 외국에도 나가 살아보고 싶은 우리지만 말년에 독일에 정착한다면 꼭 하이델베르크에 살기로 했다.(다만 독일에서도 손꼽히게 집값 비싼 도시라는 게 흠이다.)

워낙 돌아다니기 좋아하는 우리라서 프라이부르크에 살 때는 일 주일이 멀다 하고 주말마다 국경 너머 프랑스나 스위스에도 다녀오고, 특히 슈바르츠발트에 자주 놀러갔다. 하이델베르크는 국경까지는 다소 멀지만 대신에 근교에 숨은 명소가 수도 없이 많다. 4년이 넘게 산 지금도 언제나 새로운 곳을 발견하곤 한다.

하이델베르크가 아름다운 이유는 절대로 하이델베르크 성 때문이 아니다. 근교에 아름다운 장소가 많지만 하이델베르크에만도 잘 알려지지 않은 볼거리가 여럿이다. 철학자의 길이 있는 산 이름은 하일리겐베르크(Heiligenberg)다. '성스러운 산' 정도 되려나? 이곳에는 독일의 숲이 다 그렇듯 산책로가 잘 되어 있을 뿐 아니라 산 정상쯤에 신비로운 장소를 여럿 숨기고 있기도 하다.

근대까지는 이 산에 블루베리가 지천으로 열려서 초여름이면 옆 도시 만하임에서 블루베리 따러 오는 사람들로 북새통을 이루었다고 한다. 철도청에서 '블루베리 열차'를 임시로 투입했을 정도였다. 하이델베르크라는 지명도 원래 블루베리를 뜻하는 독일어 '하이델베레(Heidelbeere)'와 산을 뜻하는 '베르크(Berg)'가 합쳐져서 나온 것이다. 고로 하이델베르크는 '블루베리 산'을 뜻한다. 지금은 하일리겐베르크에서 야생 블루베리를 보기 힘들지만 지금 사는 동네 앞산에는 아직도 블루베리가 지천으로 열리는 지점이 있다.


하일리겐베르크 꼭대기에 있는 팅슈태테(Thingstätte)는 나치가 고대 로마의 원형 경기장을 본따 선동용으로 지은 거대한 건축물이다. 팅슈태테란 원래 오랜 옛날 게르만 부족의 집합장소를 가리키는 말이었다고 한다. 민족주의를 강조하기 위해 붙인 이름임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팅슈태테는 요즘은 딱히 쓰일 일이 없지만 메이데이 전야에는 수천 명의 젊은들이 모여 북적대는 그로테스크한 장소로 변모한다. 가로등 하나 없는 컴컴한 숲길을 횃불이나 손전등을 든 사람들이 줄지어 올라간다. 가는 목적도 딱히 없다. 그냥 가서 죽치고 앉아 맥주를 마시거나 다양한 묘기를 부리는 사람들을 구경하거나 각자 가져온 잼베이를 연주하거나 춤을 추기도 한다. 문명과는 동떨어진 산꼭대기에 수천 명의 사람들이 원시인처럼 우글거리고 있는 광경도 볼 만하다.

혹시 노동절 무렵에 하이델베르크에 온다면 한번쯤 올라가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이다. 시내 곳곳에서 노동절 전야제가 있으니 구경하다가 밤 열 시쯤 철학자의 길까지 올라가서 그저 사람들의 무리에 끼면 된다. 따로 길을 알 필요도 없다. 밤에 하일리겐베르크에 올라가는 것도 색다른 경험이지만, 밤에 가면 그 근처의 볼거리를 볼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그 중 하나가 팅슈태테 위쪽에 있는 미하엘 수도원(Michaelskloster)의 폐허이다. 9세기에 지어진 수도원인데 옛 구조가 고스란히 남아 있다. 서쪽에 남아 있는 탑에 올라가면 수도원 평면도가 훤히 내려다보인다. 팅슈태테에서 좀더 산 아래쪽으로 내려오면 작은 슈테판 수도원(Stephanskloster)의 폐허가 있다.


딱히 대단한 점은 없지만 작은 탑 위에 올라가면 하이델베르크 성이 바라다보인다. 근처에는 깊이 50미터에 달하는 우물이 하나 있는데 기원전에 켈트 족이 팠다는 이야기도 있고, 중세에는 여기에 거위를 집어넣었더니 수 킬로미터 떨어진 다른 수도원에서 도로 나오더라는 이야기도 있다. 이 우물과 관련된 괴기역사소설도 있을 정도니 하여간 이곳도 그로테스크하기는 마찬가지다.

사실, 근처에 사는 주민들이 아닌 이상 이런 곳까지 굳이 찾아가는 사람은 없다. 하물며 갈 길이 바쁜 한국 관광객들이야 오죽할까. 그러나 우리에게는 손님이 오면 가볍게 산책나가기 딱 맞는 장소이다(산꼭대기까지 도로가 있어 굳이 걸어서 갈 필요도 없다). 물론 일차로 안내해주는 곳은 하이델베르크 성과 철학자의 길이지만 친구들은 이곳도 시내 못지않게 흥미로워했다. 유럽에 살다 보면 성이야 신물나게 보게 되니, 오히려 옛 냄새 묻어나는 이곳의 조용한 산책로를 더 좋아하는 사람도 있었다.

남편의 석사논문이 이 일대 지리사에 관한 것이었다. 덕분에 남편 현장조사하는 동안 따라다니며 역사 이야기도 많이 주워듣고 숲 속 곳곳에 숨어 있는 옛 표지석이나 경계선을 발견하는 재미가 쏠쏠했다. 하이델베르크를 사랑하기로는 나도 못지않지만 논문까지 쓰고 하이델베르크 전문가가 된 남편은 아무래도 애착이 남다를 수밖에 없다. 게다가 우리가 학생시절을 보내고 결혼한 곳도 하이델베르크니, 우리는 어디로 가든 결국 이곳으로 돌아오지 않을까 싶다.

한겨레 블로그 내가 만드는 미디어 세상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1.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2.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3.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4.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5.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