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소보 ‘미완의 독립’ 2년 여전히 경제난에 허우적
합법성 가리는 재판 진행…실업률 40%
원조확대 호소에 국제사회 “의지 말아야”
원조확대 호소에 국제사회 “의지 말아야”
2년 전, 코소보의 하늘에는 독립선언을 축하하는 폭죽이 터졌다. 코소보는 17일로 세르비아에서 독립한 지 2년을 맞았지만 아직 미완의 독립상태다. 코소보의 일방적 독립선언을 인정한 나라는 미국과 유럽연합 회원국 상당수 등 65개국밖에 안된다. 세르비아와 러시아 등은 독립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대다수 국가는 국제사법재판소(ICJ)의 판단을 기다리고 있다. 독립이 굶주린 배를 채워주지는 않았다. 실업률은 40%에 이른다. 전체 인구 200만명 가운데 45%가 빈곤에 허덕인다. 1인당 국민소득은 1760유로(약 280만원) 수준이다. <데페아>(dpa) 통신은 희망을 잃은 젊은층이 생명의 위험을 무릅쓰고 험난한 경로를 거쳐 유럽 선진국으로 빠져나가고 있다고 17일 전했다. 불법이민 조직에 몸을 맡긴 한 청년은 이 통신에 “위험한 줄 알지만, 더이상 지금처럼 살 수는 없다”고 말했다. 경제적 지원을 해왔던 국제사회도 싸늘해지고 있다. 제 코가 석자인 까닭이다. 주요 원조국인 이탈리아의 마카엘 지포니 코소보 주재 대사는 “외부 원조에 의지하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야 한다”고 말했다. 국제사회 원조는 코소보 국내총생산(GDP)의 15%에 이른다. 코소보 정부는 3~5년 정도 국제사회의 원조가 더 필요하다고 밝히고 있다. 아르심 바즈라미 코소보 공보장관은 “독립하면 사회복지가 바로 뒤따를 것이라고 기대하지만 한번에 충족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알바니아계가 90%인 코소보는 12만명의 세르비아계가 다수 거주하는 북쪽 영토 약 15%는 관할권조차 제대로 행사하지 못하고 있다.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지난해 보고서에서 코소보에 나토군 1만명이 주둔하고 있지만, “조직범죄 활동의 기반 및 경로지가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 11월 지방선거에서 세르비아계가 선거를 거부하지 않고 참여한 것은 큰 진전으로 여겨진다. 마르코 브레렉 국제위기그룹(ICG) 발칸국장은 “코소보는 빈국 상태에 빠질 위기가 수십년간 지속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김순배 기자 marco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