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문제에 국가개입 초래”
“세속주의가 루소가 얘기했던 시민종교를 닮아가고 있다.”
프랑스의 저명한 종교사회학자인 장 보베로 고등연구원(EPHE) 명예교수는 25일 주간 <타임>과 회견에서 부르카 착용 금지 등 최근 프랑스에서의 이슬람 논란을 두고 “세속주의자들이 종교 문제에 국가가 개입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시민종교’는 장자크 루소가 <사회계약론>의 4권8장에서 “국가의 신성스런 권위와 함께 국가를 통합하기 위해 필요한 사회적 유대의 한 가지 형태”로 정의한 것으로, 보베로 교수 발언은 세속주의가 일종의 종교가 되고 있다고 꼬집은 것이다.
보베르 교수는 “정교분리의 원칙을 법률로 보장한 1905년법은 공립학교에서 종교적 교육을 제외시켜 사회에 대한 가톨릭교회의 영향을 막으려던 것”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최근 프랑스내 논쟁을 주도하고 있는 세속주의자들은 세속주의를 강요하는 데 있어 복음주의적 열정을 보이고 있다고 보베로 교수는 지적했다. 10월 중 최종 채택이 예상되는 부르카(전신을 가리는 이슬람 전통의 여성용 베일) 착용금지 법안, 하랄(이슬람 율법에 따라 도축한 고기와 음식) 판매에 관한 최근 논쟁에서 과거 가톨릭이 차지했던 자리를 이슬람이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 요인은 프랑스에서 두번째로 많은 신자를 확보한 이슬람의 확산에 대한 우려가 깔려 있다.
프랑스 사회의 다양성을 촉구하는 단체인 ‘레젱디비지블’(나눌 수 없는 것들이란 뜻)의 창립자인 로카야 디알로도 “세속주의는 원래 개인이나 종교적 소수를 국가와 사회로부터 보호하려는 것이었지만 요즘은 그 반대가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류재훈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