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채 이자율 급등…구제금융 가능성 높아져
조제 소크라트스 중도 좌파 사회당 출신 포르투갈 총리가 23일 정부가 내놓은 긴축예산안이 의회에서 부결된 뒤 사임했다. 이에 따라 포르투갈의 10년 만기 국채 이자율이 7.8%까지 오르고 5년 만기 국채는 그 이상으로 치솟으면서 포르투갈이 지난해 국가부도 상태에 빠져 구제금융을 신청한 아일랜드, 그리스의 수순을 밟고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많은 전문가들은 국채 이자율 7%를 포르투갈이 감당할 수 있는 마지노선으로 간주해왔다.
포르투갈의 유력한 경제전문가인 필리프 가르시아는 “구제금융으로 갈 가능성이 급격히 커졌다”고 말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전했다. 1980년대 국제통화기금의 구제금융을 받은 경험으로 인해 사회당 정부는 강력한 긴축정책이 수반되는 구제금융을 거부해 왔고 군소정당들이 이를 지지하고 있다. 이 통신은 그러나 제1야당인 사회민주당은 구제금융의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면서, 유로존의 독일과 같은 채권국들은 포르투갈이 더 이상 시장 불안정 요인이 되지 않으려면 구제금융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압박해 왔다고 전했다.
포르투갈은 4월15일 43억유로, 6월에 49억유로의 채권을 상환하거나 기한을 연장하지 못하면 국가부도 상태에 빠진다. 그러나 포르투갈이 높은 이자율을 받아들여 기한을 연장할 경우 올해는 넘길 수가 있다. 반면에 정치분석가들은 총선을 통해 새 정부가 구성되려면 몇주가 걸릴 것으로 예상되지만, 의회의 의결만 있으면 새 정부 구성 전에라도 구제금융 합의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유로존 소식통은 지난 1월 포르투갈의 구제금융 규모가 600억~800억유로(95조~127조원) 사이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유럽재정안정기구의 구제금융기금과 국제통화기금이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로이터>는 전했다. 강태호 기자 kankan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