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부채위기 해법 합의 난항
무디스, 신용등급 추가 ‘강등’
무디스, 신용등급 추가 ‘강등’
그리스 부채위기에 대한 최종 해법이 좀처럼 합의되지 않는 가운데, 그리스 정부 채권의 신용등급마저 또다시 하락하며 혼란을 부채질하고 있다.
유럽연합(EU) 회원국 재무관리들은 1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회동해, 그리스 부채해결을 위한 새로운 구제금융안을 논의했으나, 민간 채권자들의 고통 부담을 놓고 이견을 보여 합의에 실패했다.
이날 회동에선 그리스에 2012~2013년에 추가로 300억유로를 지원하는 데엔 합의가 이뤄졌으나, 독일이 그리스 정부 채권을 소유한 투자자들도 채권 만기 연장을 통해 고통을 일부 부담해야 한다는 기존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고 <월스트리트 저널>이 보도했다. 독일은 당초 민간 투자자 소유 채권 만기 연장안을 철회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아직 최종 결정을 못내렸고 6월 말께나 결정될 것이라고 신문은 덧붙였다.
유럽중앙은행(ECB)은 채권만기 연장은 사실상 지급불능 선언이며, 이는 부채위기를 겪는 유럽의 다른 국가들에서 자본 이탈을 촉발할 것이라고 반대하고 있다. 유럽중앙은행은 투자자들이 만기가 도래하는 보유 채권을 상환받는 대신, 새로운 채권을 구매해주는 ‘신사협정’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런 방안은 2009년 동유럽 국가들의 구제금융 때 도입한 ‘빈 구상’을 원용한 것이다. 채권단은 이런 빈 구상으로 타협을 보고 3일께 합의안을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고 <로이터> 통신은 보도했다. 그러나 <월스트리트 저널>은 전문가들의 말을 인용해, “그리스의 부채 상환이 몇 년 연기된다고 해도, 그리스는 결국 상환일이 도래하는 부채들을 갚을 수 없을 것이다”고 전했다.
시장의 이런 평가를 반영해 신용평가회사 무디스는 1일 그리스의 신용 등급을 Caa1으로 더 떨어뜨린다고 발표했다. 이런 신용등급은 향후 5년 동안 디폴트(채무불이행) 가능성이 50%라는 의미이다. 무디스는 또 신용등급 전망을 ‘부정적’으로 적용해, 그리스의 신용등급이 더 떨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정의길 선임기자 Egi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