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부 구성 못한 이유로 AA+→AA로
은행들, 유로존 해체 대비 ‘비상계획’ 착수
은행들, 유로존 해체 대비 ‘비상계획’ 착수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푸어스(에스앤피)가 25일(현지시각) 저녁 늦게 기습적으로 벨기에의 신용등급을 ‘AA+’에서 ‘AA’로 한 단계 강등했다.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의 위기가 주요 국가들로 빠르게 전염될 수 있다는 우려가 높아지면서 유로존 해체설도 점점 더 구체성을 띄고 논의되기 시작했다.
에스앤피의 벨기에 신용등급 강등은 재정위기 못지않게 530여일 동안 무정부 상태인 벨기에 내부의 정치적 불안정이 원인이 됐다. 에스앤피는 발표문에서 “새로운 정부를 구성하려는 노력이 계속 실패로 돌아가면서 당국의 대응 능력이 약화되고 있다”며 “높아지는 재정적자의 압력을 빠른 시간 안에 차단하기 힘들 것”이라며 강등의 원인을 밝혔다. 벨기에는 프랑스어권과 네덜란드어권 사이의 갈등으로 세계 최장 기간 동안 정부를 구성하지 못하고 있다.
발칵 뒤집힌 벨기에 정치권은 등급 강등 하루 만에 내년도 예산안을 통과시키는 등 발빠른 대응에 나섰다고 <아에프페>(AFP) 통신은 전했다. 국왕으로부터 전권을 위임받은 엘리오 디 루포 사회당 당수는 주요 6당회의를 열고 올해 대비 10%에 달하는 113억유로를 삭감하는 내년도 예산안을 합의했다. 정부 수립 가능성도 그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
하지만 이미 유로존 위기 전염은 현실화되고 있다. 지난주 독일 국채의 발행성적이 시원찮았던 것이 우려를 키웠고, 신용평가사들은 프랑스의 신용등급 강등 카드도 만지작거리기 시작했다고 <뉴욕타임스>는 보도했다. 노무라 증권은 최근 보고서에서 유로존 해체를 ‘상당히 현실적인 리스크’라고 진단했다.
에이치에스비시(HSBC)의 한 애널리스트는 지난 22일 고객들에게 일부 국가의 유로존 탈퇴가 ‘터무니없지 않은’ 일이라고 밝혔다. 투자은행 바클레이캐피탈이 지난 23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1000명의 투자자 가운데 절반 정도가 최소한 1개 국가의 유로존 이탈이 현실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35%는 그리스만 탈퇴, 20%는 유로존 전체 해체를 예상했다.
일부 은행들은 유로존 붕괴 상황을 놓고 ‘비상계획’을 짜기 시작했다. 스코틀랜드 왕립은행은 이미 비상계획 초안 작성에 들어갔고, 외환 거래 결제시스템을 운영하는 시엘에스(CLS) 뱅크 인터내셔널은 유로 붕괴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해 ‘스트레스 테스트’(외부충격에 대한 금융사의 위기관리 능력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했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등이 “(유로존 해체는) 절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강변하고 있지만, 발빠른 금융사들은 최악의 시나리오에 대한 대비에 이미 돌입했다. 이형섭 기자 sub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