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3기’ 대외정책 어디로
방어적 반미주의·친중주의로
G2 양강 견제와 협력 동시에
패권국가 러시아 부활 노릴것
방어적 반미주의·친중주의로
G2 양강 견제와 협력 동시에
패권국가 러시아 부활 노릴것
‘러시아의 부활’을 내건 블라디미르 푸틴 총리의 ‘3기 집권’은 유라시아 대륙을 둘러싼 해양세력과 대륙세력의 패권 게임과 연관된 새로운 전략적 판짜기 움직임을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 푸틴은 미국과 중국이라는 양대 강국(G2) 시대에 ‘와일드카드’로서의 러시아의 전략적 가치를 극대화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미-소 냉전 절정기에 미국과의 극적인 화해로 소련을 포위해 그 붕괴의 전략적 배경 노릇을 한 중국의 역할을 떠올리게 한다.
푸틴은 지난 2월23일 자신의 웹사이트에 올린 ‘러시아와 변화하는 세계’라는 글에서 이른바 미-러 관계의 재정립(리셋)은 실패했음을 명확히 했다. 버락 오바마 미국 행정부는 2009년 출범 이후 미-러 관계의 개선을 추구했다. 이는 중국의 부상이라는 전략적 상황 속에서 △이란 핵문제 △아프간 전쟁 △핵감축 등에서 러시아의 협조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앞서 양국 관계는 보리스 옐친 대통령 시절 ‘러시아의 대미종속’ 관계에서 푸틴 집권 이후 미국의 나토 확장과 전략미사일방어망(MD) 체계 구축을 놓고 ‘신냉전’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악화됐다. 러시아도 푸틴의 대리인인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대통령의 2008년 집권 이후 미국에 호응해 이란 제재안을 통과시키고 신전략무기감축협정을 조인하는 등 일부 화해 손짓을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 들어 푸틴의 재집권에 대한 러시아 국내 정치의 반대 움직임에 미국이 적극적으로 호응하자, 크레믈 쪽은 미국에 싸늘히 돌아선 기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초부터 리비아와 시리아 사태에 대한 러시아의 독자 행보는 이를 반영한다. 미국의 러시아 전문가인 앤드루 쿠친스는 지난 1일 <포린 어페어스> 온라인판에 기고한 ‘재정립의 종말’이라는 글에서 “푸틴의 반미주의는 방어적”이며 상당 부분 러시아 국내 정치에서 자신의 입지가 위협받는 것에 대한 반발이라고 평하면서도, 푸틴의 러시아 대외정책은 유럽 부채위기와 중국의 부상이라는 큰 배경을 갖는다고 지적했다.
이미 러시아와 중국은 1990년대 중반 중앙아시아 국가들이 함께 참가하는 상하이협력기구라는 준안보기구를 창설하며 일방적인 미-중 접근 시대를 종료했다. 러시아를 놓고 미-중 양강이 각축하는 구도로 바뀐 것이다. 반면 중-러 접근에도 한계는 있다. 무엇보다 팽창하는 중국의 경제력이 러시아 접경지역을 ‘중국화’한다는 우려가 나오는 등 러시아의 대중 공포감이 적지 않다.
푸틴의 러시아는 이처럼 방어적 반미주의와 방어적 친중주의에 기초해 미-중 양강과 견제와 협력을 동시에 꾀하는 대외정책을 펼치면서 다시 독립적인 대륙 패권국가로 발걸음을 돌리는 ‘재정립’을 시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의길 선임기자 Egil@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다짜고짜 아슬아슬 성교육, 아들 답이 걸작
■ “속옷 보일까 걱정…” 아시아나 왜 치마만 입나요
■ 30대 이하에게 ‘나꼼수’는 ‘월간조선’이다
■ 방통위원 김태호 PD에 “초등학교 나왔냐”
■ “박지성 선수, 산개구리는 이제 그만”
■ 다짜고짜 아슬아슬 성교육, 아들 답이 걸작
■ “속옷 보일까 걱정…” 아시아나 왜 치마만 입나요
■ 30대 이하에게 ‘나꼼수’는 ‘월간조선’이다
■ 방통위원 김태호 PD에 “초등학교 나왔냐”
■ “박지성 선수, 산개구리는 이제 그만”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