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연기금 등 참여 거부
강제력 발동기준 90% 밑돌아
강제력 발동기준 90% 밑돌아
그리스의 부채 삭감을 목적으로 한 국채 교환이 난항을 겪으면서 금융시장이 다시 불안감을 보이고 있다.
8일 자정이 마감 시한인 그리스 국채 교환에 해당 채권자의 75~80%만이 신청할 것으로 보인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그리스 정부 관계자 등을 인용해 7일 보도했다.
유럽연합 등은 그리스에 1300억유로 상당의 2차 구제금융을 제공하는 조건으로 그리스 채권을 보유한 민간 투자자들도 신규 채권으로 교환해야 한다는 조건을 내걸었다. 이 결정에 따라 민간 투자자들은 채권 액면가의 최대 53.5%를 삭감하고 만기를 연장한 새로운 채권으로 교환해야 한다. 이 국채교환으로 그리스는 기존 부채인 1770억유로 중 1070억유로를 탕감받는 효과를 누리게 된다. 국채교환에 거부하는 채권자들에게 강제력을 발동할 수 있는 ‘집단행동조항’(CACs)을 발효시키기 위해선 일반적으로 채권자들의 90% 이상이 참가해야 하며, 그리스 정부도 이를 목표치로 삼고 있다.
그러나 그리스 정부 관계자는 6일 그리스 국채를 보유한 4개 그리스 연기금 등이 조건에 대한 불만 때문에 국채 교환을 거부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다만 그리스 정부 쪽은 참가율이 90%를 밑돌아도, 비참가 채권자들의 국채교환을 강제하는 것에 자신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은 전했다. 그리스 국내법에 따른 집단행동조항은 채권자의 3분의 2 이상만 동의하면 반대하는 나머지 채권자들에게도 국채교환을 강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스 쪽은 특히 민간 투자자를 대표하는 국제금융기구(IFF) 상임위의 13명 이사 가운데 12명이 이번 국채교환에 동의한 점을 들어, 국채교환 프로그램을 강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 경우는 채권자의 의사에 반해 기존 채권을 변경하는 것으로 사실상 디폴트에 해당돼 신용부도스왑(CDS) 지불 요건이 될 수 있는 등 파장이 예상된다.
국제금융기구는 지난 2월18일 비밀보고서에서 “국채 교환이 실패하면 유로존에 대한 충격이 1조유로(한화 1천482조원)에 달할 수 있다”고 경고한 것으로 드러나 그리스 디폴트 우려를 키웠다. 그리스 국채교환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다는 소식에 이날 국제 금융시장은 요동쳤다. 뉴욕 다우존스 지수가 올들어 처음으로 세자리 수인 200포인트 이상(1.6%) 떨어졌고, 독일과 프랑스 증시도 3% 이상 추락했다.
정의길 선임기자 Egil@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개독교’라 욕해도… 달걀로 바위치기라도…
■ 김재호 판사 “검찰이 기소하면 법원서 알아서 할것” 말했다
■ “님들아, 이번 테러는 제가 주도하겠삼” ‘초딩’ 여성부 공격
■ 김재철의 보복…‘북극의 눈물’ 팀 등 직원 법인카드 감사
■ 문재인 오전에만 5백여명과 악수 “4kg 빠졌다”
■ ‘개독교’라 욕해도… 달걀로 바위치기라도…
■ 김재호 판사 “검찰이 기소하면 법원서 알아서 할것” 말했다
■ “님들아, 이번 테러는 제가 주도하겠삼” ‘초딩’ 여성부 공격
■ 김재철의 보복…‘북극의 눈물’ 팀 등 직원 법인카드 감사
■ 문재인 오전에만 5백여명과 악수 “4kg 빠졌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