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일간 <가디언>
특종보도 뒤 “자료 달라” 압박
위법하다며 정보공개도 금지
“자료 파기” 보도에 국장 등 조사
보수층까지 반발 “해괴한 정부”
위법하다며 정보공개도 금지
“자료 파기” 보도에 국장 등 조사
보수층까지 반발 “해괴한 정부”
영국 정부가 전직 미국 중앙정보국(CIA) 직원 에드워드 스노든의 폭로 내용을 근거로 미 정보기관의 사찰과 개인정보 수집 실태를 독점 보도한 영국 일간 <가디언>(사진)에 대해 전방위적인 탄압을 가하고 있다.
영국의 정보기관인 정부정보통신사령부(GCHQ)는 최근 영국 런던의 <가디언> 본사에 요원들을 보내 앨런 러스브리저 편집국장을 비롯한 3명의 간부들을 조사했다고 <뉴욕타임스> 등이 20일 보도했다. 러스브리저 편집국장이 스노든한테서 입수한 자료가 담긴 컴퓨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파기한 사실을 본지 칼럼을 통해 공개한 직후였다. 이 하드드라이브에는 스노든이 미 정보기관의 인터넷에 접속해 내려 받은 기밀자료가 담겨 있었다. 러스브리저 국장은 “영국 정부가 이 하드드라이브를 제출하라고 줄기차게 요구해서 아예 없애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영국 정부는 ‘중요 재판 정보 사전 공개 금지령’으로 <가디언> 경영진을 압박했다. 스노든이 미국 법정에 기소된 상태이므로 그가 확보한 기밀 자료는 재판에서 중요한 증거여서 이를 기사 형태로 일반에 공개하는 것은 위법하다는 논리다. <가디언> 경영진이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은 이를 정보기관에 넘기거나, 아예 없애버리는 것뿐이었다.
영국 정부의 압박은 스노든의 1차 폭로 직후부터 쭉 이어졌다. 정보기관은 <가디언>의 단독 보도 직후인 6월7일 영국의 다른 신문과 방송에 비공개 공문을 보냈다. 스노든의 폭로 내용이 다른 언론에 기사화되는 것을 막으려는 조처였다. 공문에는 “국가 안보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정보는 보도하지 말라”고 적혀 있었다고 <뉴욕타임스>가 전했다.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도 <가디언> 압박에 가담했다. 러스브리저 편집국장은 <뉴욕타임스> 인터뷰에서, 두 달 전 “캐머런 총리의 메시지를 전달하러 왔다”는 정부 고위 관계자를 두 차례 만났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가디언이) 실컷 재미를 봤으니, 더는 기사를 쓸 필요가 없을 것”이라며 스노든의 기밀 자료를 압수하려고 법적인 조처를 취하겠다고 협박했다고 신문이 전했다.
<가디언>은 영국 정부에 미운털이 단단히 박힌 상태다. 스노든 사태 이전에도 폭로 전문 사이트 <위키리크스>에서 미국 정부의 외교 기밀 자료를 넘겨받아 옛 보수당 정권의 치부를 드러낸 기사를 쓴 바 있다.
영국 정부의 과도한 <가디언> 탄압에 영국 여론이 들끓고 있다. <가디언>이 진보 세력은 물론 보수층에도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현실이 작용했다. 이런 사정 탓에 야당인 노동당은 물론 집권 보수당 소속 의원들까지 영국 정부 비난에 가세하고 있다. 데이비드 데이비스 보수당 의원은 “정부가 ‘우리 편이 아니면, 모두 테러리스트’라는 해괴한 논리를 갖고 있다”고 비난했다.
그러나 영국 정부는 “테러단체에 정보를 흘리리라 의심되는 경우엔 영장 없이 누구나 조사할 수 있다”며 반테러법에 따른 합법적인 조처라고 주장하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미국 정부가 러시아 정부에 스노든을 추방하도록 압박하고는 있지만, 스노든의 폭로 내용을 보도한 미국 언론을 탄압하지는 않는다”고 꼬집었다. 스노든은 러시아에 임시 망명 중이다.
이춘재 기자 cjle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개점휴업’ 해놓고…월세 받듯 활동비만 타간 ‘민간인 사찰 국조 특위’
■ 전세계인이 미국인처럼 살려면 ‘지구 4개’가 필요하다
■ 아내 몰래 비상금 넣어두려는데…‘비밀 계좌’ 은근한 인기
■ “우린 홍길동 신세, 진짜 사장을 사장이라고 못불러요”
■ [화보] 두 손 모아…천주교 ‘국정원 규탄’ 첫 시국 미사
■ ‘개점휴업’ 해놓고…월세 받듯 활동비만 타간 ‘민간인 사찰 국조 특위’
■ 전세계인이 미국인처럼 살려면 ‘지구 4개’가 필요하다
■ 아내 몰래 비상금 넣어두려는데…‘비밀 계좌’ 은근한 인기
■ “우린 홍길동 신세, 진짜 사장을 사장이라고 못불러요”
■ [화보] 두 손 모아…천주교 ‘국정원 규탄’ 첫 시국 미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