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위도 EU와 FTA 불발탓에 시작
‘친러’ 동부 주지사들 “자체 통치”
‘친러’ 동부 주지사들 “자체 통치”
22일 빅토르 야누코비치 대통령의 탄핵으로 반정부 시위가 막을 내렸지만, 우크라이나의 앞날을 낙관하기는 이르다. 5월 조기 대선 전까지 ‘권력 공백’을 어떻게 메울지도 문제지만, 친러시아 성향인 동부와 친유럽 성향인 서부로 갈린 지역 갈등이 골칫거리다. 애초 이번 시위 사태가 촉발된 원인도 거기에 있다.
지난해 11월 시위 촉발 직전까지 우크라이나는 유럽연합(EU)과 막판 자유무역협정(FTA)을 벌였다. 하지만 야누코비치 대통령이 돌연 협정을 거부하고, 러시아에서 150억달러 규모의 경제 지원을 받는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유럽연합과 협력 확대를 기대한 친유럽 성향의 젊은이들이 대거 키예프의 거리로 몰려나온 이유다.
<에이피>(AP) 통신은 21일 “반정부 시위대는 서쪽으로 국경을 맞댄 폴란드의 경험을 눈여겨보고 있다”고 짚었다. 냉전이 막을 내린 직후만 해도 경제 규모가 비슷하던 폴란드는 유럽에 손을 뻗어 1인당 국민총생산(GDP)를 2만2200달러 수준까지 끌어올렸다. 반면 값싼 천연가스 공급 등에 이끌려 러시아 쪽과 돈독한 관계를 유지해온 우크라이나의 1인당 국민총생산은 7300달러 수준이다.
반정부 시위가 불을 뿜자 러시아와 국경을 맞댄 동부 쪽에선 ‘음모론’이 횡행했다. 유럽과 미국 등이 반정부 시위를 부추기고 있다는 주장이다. 야누코비치 대통령이 ‘피신’한 하리코프에서 22일 모인 동부 지역 주지사들이 의회의 결정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힌 것도 같은 맥락에서다. 이들은 성명에서 “상황이 원만하게 해결될 때까지 헌법 질서 유지와 시민의 권리 보호, 안보와 영토를 지키기 위한 법적 책임을 중앙정부에 맡기지 않고 자체적으로 수행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야누코비치 대통령는 ‘위험한 줄타기’를 벌이고 있다. 그는 22일 의회의 탄핵 결정을 ‘쿠데타’라고 비판하는 방송 연설에서 “지지자들을 만나러 남부 지역 순회 방문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날 연설을 우크라이나어가 아닌 러시아어로 했다. <가디언>은 “우크라이나 남동부 흑해 연안의 크리미아는 주헌법이 따로 있는 자치주로, 러시아 해군기지가 있을 정도로 친러 성향이 강한 지역”이라며 “야누코비치 대통령의 이 지역 방문이 불길해 보인다”고 짚었다.
정인환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