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그리스 기업과 가계가 은행권에 예치한 자금 규모가 최근 10년 사이 최저 수준으로 떨어져 뱅크런(대규모 예금인출) 재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 인터넷판이 26일 보도했다.
중앙은행인 그리스은행이 이날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그리스 기업과 가계는 자국 정부와 국제 채권단이 옥신각신하는 사이 지난달에만 은행권에서 76억 유로를 찾아갔다.
이에 따라 지난달 그리스 은행권의 예금 잔고는 1405억 유로를 기록, 최근 10년 사이 최저 수준으로 축소됐다.
2월 인출 규모는 비록 전월보다 줄기는 했지만, 올해 1~2월 두 달에만 모두 204억 유로가 빠져나갔다.
이는 지난 2012년 긴축 반대파가 선거에서 승리할 경우 그리스가 유로존(유로화사용 19개국)에서 탈퇴할 것이라는 우려가 확산하면서 뱅크런이 발생, 그해 5월과 6월에 모두 159억 유로가 인출된 것보다 훨씬 많다.
지난달 그리스 새 정부와 유로존 채권자 간 협상이 실패했을 때는 하루 인출 규모만 거의 8억 유로에 이르렀고, 지난달 20일 마침내 협상이 타결되면서 예금이 다시 늘어난 바 있다.
하지만 그리스 은행가에서는 그리스 재정이 곧 바닥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최근 수주 동안 예금 인출이 다시 늘고 있다고 전하고 있다. 지난주 하루 인출 규모는 거의 4억 유로에 달했다.
그리스가 국제 채권단과의 협상에서 속히 합의를 이끌어내지 못하면 이달 말 17억 유로의 공무원 급여와 연금을 지급할 수 없고, 내달 9일로 예정된 국제통화기금(IMF)에 대한 4억5천만 유로의 이자 지급도 어려울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그동안 유로존 관리들은 뱅크런이 돌발적인 ‘그렉시트’(그리스의 유로 이탈)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우려해왔다고 FT는 전했다.
급격한 예금 인출로 그리스 은행들이 지불 불능 사태에 빠지고 유럽중앙은행(ECB)이 은행들에 하루하루 긴급지원을 하는 관행을 포기한다면, 그리스로서는 은행시스템을 되살리는 유일한 방안이 자체 화폐 발행이 될 수 있다고 FT는 설명했다.
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