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세회피처 자료 ‘파나마 페이퍼스’에 거명된 시그뮌 뒤르 다비드 귄로이그손 아이슬란드 총리가 사임키로 했다고 5일(현지시간) 외신들이 전했다. 귄로이그손 총리는 전날까지도 “조세회피처에 숨긴 재산이 없으며 재산보유 과정에서 규정이나 법을 어긴 게 없다”면서 “사임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었다. 사진은 4일 인구 33만 명인 아이슬란드의 수도 레이캬비크 의회 앞에 무려 1만여 명의 시민들이 운집, 귄로이그손 총리의 사임을 요구하고 있는 모습. AP=연합뉴스
귄로이그손 총리, 재산 해외로 빼돌린 사실 들통
분노한 시민들 1만여명, 의회 앞서 대규모 시위
사임 거부하다 야당 불신임 투표 직전 스스로 물러나
분노한 시민들 1만여명, 의회 앞서 대규모 시위
사임 거부하다 야당 불신임 투표 직전 스스로 물러나
‘파나마 페이퍼스’ 스캔들이 아이슬란드를 강타해 시그문뒤르 귄뢰이그손 총리가 결국 사임하기로 했다. 귄로이그손 총리는 해외로 재산을 빼돌린 사실이 파나마 페이퍼스에 언급해 국민의 분노와 사퇴 압박을 받았다. 각국의 조세·수사당국이 속속 파나마 로펌인 ‘모색 폰세카’의 내부 자료 1150만건 속에 담긴 돈 세탁 등의 의혹에 대한 조사·수사 의지를 내비침에 따라 문건에 등장하는 전세계 저명 인사들은 전전긍긍하고 있다.
아이슬란드 총리실은 5일 낸 성명에서 “그(총리)는 사임하지 않았다”면서도 “그가 총리직을 특정되지 않은 시점에 시구르두르 잉기 요한슨 농어업장관한테 넘길 것”이라고 밝혔다. 사실상 그의 사퇴는 시간문제다.
귄뢰이그손 총리와 그의 부인은 2008년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 사태 이전인 2007년 모색 폰세카의 도움을 받아 영국령 조세회피처인 버진아일랜드에 ‘윈트리스’라는 회사를 차려 재산을 빼돌렸고, 이 회사가 아이슬란드 은행 채권을 보유한 사실을 숨긴 채 채권단과 협상을 벌인 사실이 폭로됐다. 부인이 아이슬란드의 유일한 도요타 자동차 수입업체를 소유한 부친으로부터 재산을 상속받으면서 설립한 것이다. 그러나 귄뢰이그손 총리는 2009년 4월 의원에 당선될 때 윈트리스 재산을 신고하지 않았다. 그리고 2009년 12월 말 윈트리스에 대한 자신의 지분 50%를 부인에게 단 1달러에 넘겼다. 2013년 총리로 취임할 때에도 이를 신고하지 않았다.
윈트리스는 아이슬란드 3대 은행이 발행한 은행채 480만달러를 보유하고 있었는데, 이들 은행이 2008년 금융위기 직후 파산했다. 2013년 4월 귄뢰이그손을 총리로 하는 아이슬란드 정부는 파산한 은행들과 영국·네덜란드 등 해외 예금자들 사이에 벌이는 채권협상을 관여했다. 파산은행들이 해외 채권자에게 얼마의 예금을 되돌려주느냐에 따라 윈트리스 같은 은행채 보유자들이 되돌려받을 채권 규모가 달라지는 것이다. 파나마 페이퍼스가 폭로된 뒤 총리가 채권 보유 사실을 공개하지 않고 협상에 관여해 이해 충돌을 빚었다는 비판이 쏟아졌다.
4일 저녁 아이슬란드 수도 레이캬비크의 의회 앞에서 1만여명의 분노한 시민들이 총리의 사퇴를 촉구하며 시위를 벌였다. 아이슬란드 전체 인구 33만명에 견주면 대규모 시위다. 야당도 총리 불신임 투표를 하자고 했다. 귄로이그손 총리는 4일 오전 대통령에게 의회 해산과 조기총선을 요구하며 사임을 거부하기도 했으나, 결국 의회의 불신임 투표를 앞두고 스스로 자리에서 물러나는 선택을 했다.
황상철 기자 rosebud@hani.co.kr
▶ 바로 가기 : 파나마 페이퍼스 ‘근원지’ 로펌 설립자 “아이슬란드 스캔들은 마녀사냥”
조세회피처 자료 ‘파나마 페이퍼스’에 거명된 시그뮌 뒤르 다비드 귄로이그손 아이슬란드 총리가 사임키로 했다고 5일(현지시간) 외신들이 전했다. 사진은 아이슬란드 시민들이 수도 레이캬비크 의회 앞에서 귄로이그손 총리의 사임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는 모습. AP=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