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뱅상 플라세 프랑스 국가개혁장관
프 플라세 장관 다음달 방한
서울서 태어나 7살때 입양
“5년전, 입양뒤 첫 한국방문때
버려진 아픔 풀고 한국과 화해”
서울서 태어나 7살때 입양
“5년전, 입양뒤 첫 한국방문때
버려진 아픔 풀고 한국과 화해”
한국계 입양인으로 지난 2월 입각한 장뱅상 플라세(48) 프랑스 국가개혁장관이 다음달 방한한다.
그는 지난 7일(현지시각) ‘한국 내 프랑스의 해’ 개막을 맞아 프랑스를 방문한 한국 외교부 출입기자들과 집무실에서 만나 “5월16일 한국을 방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플라세 장관은 이 기간 서울에서 열리는 콘퍼런스 참석을 위해 방한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18일까지 머무를 예정이다.
그는 “프랑스는 모든 행정을 인터넷으로 조회할 수 있는 ‘프랑스커넥트’(FranceConnect) 프로젝트를 실시할 예정”이라며 “이와 관련한 디지털화 부분에서 발전한 한국이나 유럽(국) 등의 조언을 구하고 협력할 생각이다. (방한 기간에) 서울시장은 물론 한국의 관련 부처 장관들과도 만나볼 생각”이라고 밝혔다.
그는 지난해 11월 프랑수아 올랑드 대통령의 방한 때 프랑스 상원의원 신분으로 수행했다.
그의 한국 이름은 권오복으로 1968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이후 부모에게서 버려져 고아원에서 생활하던 그는 만 7살이던 1975년 프랑스 노르망디의 변호사 가정에 입양됐다. 플라세 장관은 “(입양 뒤) 나를 버렸다는 배신감이나 고통에서 살았던 것이 사실”이라고 회상했다. 2011년 상원의원 당선 뒤 입양 36년 만에 한국을 처음 방문해 자신이 입양 전 생활했던 고아원 등을 둘러본 기억을 언급하며 “마음속의 아픔이 풀어지고, (한국인) 좋은 친구가 생기면서 한국과 화해했다”고 속마음을 풀어놨다. 플라세 장관은 “(이제) 적어도 1주일에 1~2번은 한국식당에 가서 먹을 정도로 한국에 대한 애정과 사랑을 느끼는 상태가 됐다”고 말했다.
그는 “내년 여름쯤에는 만 두 살인 딸과 함께 한국에 같이 가고 싶다”며 “딸이 한국어를 배워 아빠(나)한테 가르쳐줄 수 있으면 좋겠고, 아빠의 나라에 대해 발견도 하고 자긍심과 뿌리를 찾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플라세 장관은 한국말을 모두 잊어 인사말 정도만 한국어로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플라세 장관은 입양인 출신으로 프랑스 정계에 입문한 것에 대해 “니콜라 사르코지 전 대통령이 ‘내가 프랑스에서 받은 것이 많기 때문에 돌려주려고 정치를 한다’고 말했는데, (저도) 그런 생각”이라고 했다.
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