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기에가 가동한 지 40년 안팎이 된 원자로에서방사성 물질 누출 사고가 날 때를 대비해 방사능 노출로 발병할 수 있는 갑상샘암을막는 효과를 내는 요오드 알약을 전 국민에게 지급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 같은 조처로 노후 원자력 발전의 위험을 근본적으로 막을 수는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고 영국 BBC 등이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벨기에 마지 데 블로크 보건부 장관은 이날 의회에 출석해 모든 나라가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부터 다양한 안전 강화 조처를 한다면서 지금까지 원자로 주변 20㎞ 이내 주민에게 배포했던 요오드 알약의 배포 범위를 원자로 주변 100㎞로 확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럴 경우 배포 대상 지역은 벨기에 전역에 해당해 1천100만여 명에 이르는 모든 국민이 요오드 약을 받게 된다.
벨기에에는 룩셈부르크 인근의 둘 3호기, 독일과 네덜란드 인근의 티앙주 2호기, 실험용 원자로 등을 합쳐 모두 7개 원자로가 있다.
대부분 원자로의 수명이 가동 시한인 40년 안팎에 달해 안전 우려를 씻지 못하고 있다.
특히 원전을 모두 폐기하기로 한 독일은 독립 기구인 ‘원자로 안전위원회’의 보고서를 근거로 돌 3호기와 티앙주 2호기의 폐쇄를 요구하고 있다.
벨기에 원전은 2012년 원자로 압력 용기 내벽 결함으로 일시적으로 폐쇄된 바 있다.
벨기에 녹색당은 요오드 알약 배포 조처를 환영하나 이것만으로는 ‘불충분’하다며 원자력 사고 시 보건, 환경, 경제적 피해가 엄청날 것이라고 경고했다.
벨기에 정부와 전력회사는 지난 1월 노후 원자로의 가동 시한을 2025년까지 연장하기로 합의했다.
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