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8.04.04 17:21 수정 : 2018.04.04 19:53

프랑스 철도공사 파업 첫날인 3일 지역특급열차를 이용하는 파리 시민들이 생라자르역에서 만원 열차에 올라타고 있다. 파리/EPA 연합뉴스

프랑스 철도공사, 오는 6월28일까지 징검다리 파업 돌입
에어프랑스 일부 직원, 청소·에너지 노동자도 동참
가디언, “취임 1주년 앞둔 마크롱 대통령에겐 상징적 시험”

프랑스 철도공사 파업 첫날인 3일 지역특급열차를 이용하는 파리 시민들이 생라자르역에서 만원 열차에 올라타고 있다. 파리/EPA 연합뉴스
3일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정부의 철도산업 개혁안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노동자들이 총파업에 돌입하자, 현지 언론들은 “프랑스가 검은 화요일을 맞았다”고 표현했다. 수도 파리와 위성도시를 잇는 레조 엑스프레스 레지오날(RER)을 이용하는 시민들이 큰 불편을 겪었고, 스위스와 이탈리아, 스페인을 잇는 국제선 열차, 런던과 연결된 유로스타 운행 편수도 축소됐다. 프랑스에서 가장 바쁜 역으로 꼽히는 파리 북역에선 너무 많은 시민이 승강장에 몰리는 바람에 일부 시민이 열차 선로로 밀려났고, 시민들이 힘을 합쳐 이들을 들어 올리는 장면까지 연출됐다. 학교에서 일하는 50대 여성은 “이번 파업에 찬성도 반대도 하지 않는다. 다만 철도 노동자들이 매일 내가 싸우는 것과 정확히 똑같이 싸우고 있기에 불편함을 참아낼 것”이라며 “마크롱은 부자들의 대통령”이라고 비판했다.

프랑스 철도공사(SNCF) 4대 노동조합은 3~4일 이틀간 파업한 뒤 5~7일 사흘간 정상근무를 하는 ‘징검다리’ 방식으로 오는 6월28일까지 총 36일간 파업을 진행한다. 철도 운전사 77%를 포함해, 전체 철도 노동자 34%가 참여한다. 파업 기간 중엔 고속열차 테제베(TGV)는 8대 중 1대만 운영될 예정이고, 지역 노선도 5대 중 1대만 정상적으로 오간다. 최소 시민 450만명이 이동에 불편을 겪는 것으로 집계됐다. 프랑스 철도공사가 주축이 된 파업이기는 하나, 국적기 에어프랑스 노동자, 청소·에너지업체 노동자 일부도 동참하면서 프랑스 전역에서 혼란이 불가피했다. 에어프랑스는 3일과 7일에 전체 항공편의 75%만 운영한다. 3일 파리에선 경찰 추산 시민 2700명이 모여 파업을 지지하는 집회를 열었다. 시위가 다소 공격적으로 흐르면서 최소 5명이 체포됐다고 <아에프페>(AFP) 통신이 보도했다.

정부는 철도산업 개혁안의 정당성을 유럽연합(EU) 협약에서 찾는다. 2020년까지 철도시장을 단계적으로 개방해야 하는데, 이에 앞서 재무 건전성을 높이겠다는 취지다. 프랑스의 철도 운영 비용은 다른 유럽연합 국가들보다 30% 이상 높은 데다, 프랑스 철도공사는 466억유로(약 60조6261억원)에 달하는 채무를 지고 있다. 개혁안의 뼈대는 철도 노동자들의 종신 고용제와 조기퇴직 후 받게 될 연금수령제 조정이다. 가족용 무료 열차표 지급도 사라질 것으로 예상한다. 노조는 이런 변화가 철도 시스템을 민영화하기 위한 첫걸음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에두아르 필리프 총리는 이를 부인하면서 “더는 유지될 수 없는 현재 상황을 바꾸기 위한 목적일 뿐”이라고 밝혔다.

이번 파업은 지난해 5월 임기를 시작한 마크롱 대통령의 친기업적 정책 향방을 가를 시험대다. 마크롱 대통령은 세금 감면, 노동 유연성, 공공부문 축소를 주장하며 선택받았지만 지난 10개월간 민심을 잡지 못했다. 프랑스 여론연구소(Ifop)가 조사한 지난달 지지율은 44%로, 전달보다 6%포인트 떨어졌다.

일각에선 철도 개혁을 1980년대 중반 마거릿 대처 영국 총리가 주도한 석탄노조와의 전면전과 비유하기도 한다. <가디언> 사설은 “프랑스의 노조 가입률은 11%로 영국보다 현저히 낮지만, ‘첫번째 결혼기념일’을 앞둔 마크롱 대통령에겐 상징적 의미를 가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영국은 개혁되지 않은 민영화의 위험성을 보여주는 교훈이지만, 프랑스는 개혁되지 않은 국유체제의 문제점을 보여준다”며 “정체성을 바꾸려 하기보다 프랑스의 정부와 노조 모두 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미나 기자 mina@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