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12.22 19:22 수정 : 2019.12.23 02:33

지난 3월26일 독일 북동쪽 루브민 지역에서 러시아와 독일을 잇는 천연가스관 사업인 ‘노르트 스트림2’ 건설이 진행되고 있다. 루브민/AFP 연합뉴스

트럼프, 참여기업 제재법에 서명
독 “내정간섭” “치외법권적” 반발

지난 3월26일 독일 북동쪽 루브민 지역에서 러시아와 독일을 잇는 천연가스관 사업인 ‘노르트 스트림2’ 건설이 진행되고 있다. 루브민/AFP 연합뉴스

독일과 러시아를 잇는 새 천연가스관 건설 참여 기업에 미국이 제재 부과 방침을 밝히면서 독일과 일부 유럽연합 국가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울리케 데머 독일 정부 대변인은 21일 이메일 성명을 통해 미국의 조처를 “이해할 수 없으며”, 미국이 내정 간섭을 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난했다. 앞서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도 지난주 의회에 출석해 미국의 제재 움직임을 두고 “미국의 치외법권적인 제재를 거부한다”는 단호한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독일~러시아의 기존 천연가스관인 ‘노르트 스트림’에 이어 새로 건설되는 ‘노르트 스트림2’ 사업은 총 105억달러(약 12조원)가 투입되는 대형 프로젝트로, 독일·프랑스·오스트리아 등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 기업들이 대거 참여하고 있다. 특히 세계 최대 천연가스 수입국인 독일은 이번 사업을 통해 안정적인 천연가스 확보가 가능해지고, 독일을 유럽 가스 수출국의 ‘허브’로 구축할 수도 있다.

반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20일 가스관 건설에 참여하는 기업에 제재를 부과하는 내용이 담긴 ‘2020 회계연도 국방수권법’에 서명했다. 이 사업에 참여하는 기업은 미국에서의 영업활동이 금지되고 미국 기업과 연계된 사업도 할 수 없다.

미국은 가스관 건설로 독일과 유럽이 러시아 에너지에 지나치게 의존할 경우 유럽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이 축소될 것으로 우려한다. 특히 유럽으로의 천연가스 수출을 확대하려는 미국의 전략도 차질을 빚게 된다. 천연가스 수출에 따른 러시아의 수익이 증대되는 점도 미국으로선 신경 쓰이는 대목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국방수권법 서명 여파는 당장 나타나고 있다. 가스관 건설 컨소시엄에 참여한 스위스 기업 올시스 그룹은 21일 건설활동을 중지하겠다고 밝혔다.

이용인 기자 yyi@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