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유럽연합(EU)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시절 갈등을 빚었던 무역 분쟁 해소에 나섰다. 또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유럽연합과 함께 중국에 대한 공동 제재 가능성도 시사해 주목된다.
미국 지나 러만도 상무부 장관 및 캐서린 타이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무역 담당 발디스 돔브로우스키스 집행위원은 17일(현지시각) 철강과 알루미늄 초과생산 문제를 해결하는 논의를 시작한다는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보도했다.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미국이 유럽산 제품에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관세를 부과해 발생한 세계무역기구(WTO) 분쟁을 해결할 길을 마련해야 한다는 점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앞서 미국은 트럼프 행정부 때인 지난 2018년 국가안보를 이유로 유럽, 아시아산 철강과 알루미늄에 무역확장법 232조를 적용해 관세를 부과했다. 이에 유럽연합은 철강과 버번위스키 등 28억유로(약 3조8700억원) 상당의 미국산 제품의 관세를 50% 인상하는 보복에 나설 예정이었다. 보복관세는 내달 1일 적용될 예정이었는데, 이날 합의로 미뤄지게 됐다.
바이든 대통령은 전통적인 우방국과 동맹 강화를 내세우며 유럽연합과 관계 개선에 주력해왔다. 유럽연합과 갈등을 해결하고, 중국 견제에 보조를 맞출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이날 성명에는 “미국과 유럽연합 회원국들은 동맹이자 파트너인 시장경제 민주국가로서 국가안보 측면에서 유사한 이해관계를 공유하며 중국과 같이 무역교란 정책을 지지하는 국가에게 책임을 묻는 데 협력할 수 있다”는 내용이 담겼다.
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