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 워싱턴/AFP 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는 13일 중국 신장 지역에서의 강제노동과 인권유린을 지적하면서, 기업들에게 신장과 관련된 거래나 투자를 하지 말라고 강력하게 경고했다.
미 국무부와 재무부, 상무부, 국토안보부, 노동부, 무역대표부는 이날 공동으로 낸 ‘신장 공급망 기업 경보(advisory)’에서 “신장과 관련된 공급망, 벤처, 투자에서 빠져나오지 않는 기업이나 개인은 미국 법 위반의 높은 위험을 안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 경보는 지난 2020년 7월 발표한 것을 갱신한 것이다.
미 정부는 기업과 개인들이 문제가 될 수 있는 행위에 직접적으로는 물론 간접적으로 관련됐을 때에도 법 위반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신장에서의 감시행위와 관련된 중국 회사에 투자하거나, 카메라·추적기술·생체인식장치 등과 관련된 행위, 신장 수용소에 제공되는 서비스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은 별도로 낸 성명에서 이번 조처를 “신장 지역에서 계속되는 중국 정부의 집단학살과 범죄, 그리고 강제노동 사용에 관한 증거 확대에 대응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무부 대변인실은 “중국 정부는 신장 자치구와 중국 다른 지역에서 대부분 무슬림인 위구르와 카자흐, 키르기스족을 겨냥해 끔찍한 유린을 계속하고 있다”며 “유린 행위에는 광범위한 강제노동과 감시, 강제 출산통제, 부모·어린이 분리, 대규모 구금 등이 포함된다”고 밝혔다.
바이든 정부는 신장 지역에서의 인권유린을 지속적으로 비판하면서 중국을 압박하고 있다. 미 상무부는 지난 9일 신장 지역 무슬림 소수민족에 대한 대규모 구금과 첨단기술 이용 감시 등에 연루됐다며 14개 중국 기업을 제재 명단에 올렸다. 지난 3월에는 이곳에서의 소수민족 인권유린에 관련됐다며 두 명의 중국 관리에 제재를 가했다.
이에 대해 중국의 신장 자치구 인민대표대회 상무위는 성명을 내어 “미국이 신장 기업들에 무리한 제재를 하고 강제노동이 존재한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거짓말로 완전히 강도 행위”라며 “이번 제재의 속내는 신장의 태양광 산업을 억압하고 신장의 안정적 발전을 교란하려는 것”이라고 반발했다.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jayb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