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신다 아던(한 가운데 여성) 뉴질랜드 총리가 1일 오클랜드 타운홀에서 열린 ‘새벽의 습격’ 사과 행사에 참여하고 있다. 오클랜드/AP 연합뉴스
뉴질랜드가 1970~80년대 태평양 섬 나라 출신 이민자들에 대한 탄압, 이른바 ‘새벽의 습격’에 대해 공식 사과했다.
저신다 아던 뉴질랜드 총리는 1일(현지시각) 오클랜드 타운홀에서 열린 공식 사과 행사에서 “1970년대에 태평양 도서 국가 이민자 사회에 이민법을 차별적으로 적용한 것에 대해 공식적이고 전적으로 사과드린다”고 말했다고 <가디언> 등이 전했다.
뉴질랜드 정부는 1974년부터 체류 기한을 넘긴 태평양 섬 나라 출신 이민자들을 색출해 추방하기 시작했다. 당시 추방 작업이 주로 새벽에 이뤄져 ‘새벽의 습격’이라고 불린다.
뉴질랜드는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호황기를 맞아 노동력 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주변 사모아와 통가, 피지 등 태평양 섬 나라들에서 상당수 이민 노동자들을 받아들였다. 그러나 20여년 뒤 양모가격 하락과 석유파동 등으로 경제위기가 시작되자, 일부 정치세력과 언론이 반이민정서를 고조시켰다.
당시 초과 체류자 중 태평양 섬 나라 출신들보다 미국이나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출신이 많았지만 이들에 대한 추방은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이런 특정 집단을 겨냥한 추방 행위는 10여년 동안 이어졌다.
당시 뉴질랜드 정부는 태평양 도서국가 출신 이민자들이 모여 살던 지역에 새벽 시간에 개를 끌고 단속원들을 투입해 강제 추방 명령을 집행하는 등 비인권적인 방식으로 탄압해 인권 단체들의 강한 반발을 샀다. 최현준 기자
haoju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