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인도네시아 마하캄강에서 벌채한 목재를 한 노동자가 관리하고 있다. AFP 연합뉴스
‘2030년 산림파괴 중단’을 약속했던 인도네시아가 사흘 만에 약속을 지키지 않을 수 있다는 뜻을 밝혔다.
4일(현지시각) <비비시>(BBC) 등 보도를 보면, 시티 누르바야 바카르 인도네시아 환경부 장관은 이날 본인 페이스북에 “2030년까지 삼림 파괴 제로(0) 달성을 강요받는 것은 부적절하고 불공평하다”며 “우리가 할 수 없는 것을 약속할 순 없다”고 적었다.
앞서 지난 2일 브라질, 러시아, 캐나다, 중국 등 100여 개국의 정상들은 ‘삼림 및 토지 이용에 관한 글래스고 정상 선언’을 통해 2030년까지 삼림 벌채를 중단하고 192억3000만 달러(약 22조6000억원)의 기금을 조성하겠다고 약속했다.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도 이 선언에 동참했다.
환경 보호를 주무로 하는 환경부 장관이 대통령의 산림 보호 약속 이틀 만에 정반대되는 의견을 밝힌 것이다. 시티 장관은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을 그의 별명인 ‘조코위’로 지칭하며, “조코위 대통령 시대의 거대한 발전은 탄소 배출(감소), 삼림 파괴(중단)의 이름으로 멈춰서는 안 된다”며 “숲을 포함한 인도네시아의 자연 재산은 공정하고 지속가능한 원칙에 따라 사용될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린피스의 인도네시아 산림 캠페인 대표인 키키 타우픽은 “매우 실망스럽다”며 “산림파괴중단 선언과 완전히 배치된다”고 말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전했다.
인도네시아 외무장관도 해명에 나섰지만 오히려 혼란을 더했다. 마헨드라 시레가르 인도네시아 외무장관은 이날 “2030년까지 산림파괴를 중단하는 것이 공약의 일부”라며 “산림벌채를 중단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가능한 산림관리로 해석하고 있다”고 말했다.
삼림·토지와 관련한 글래스고 선언을 벌채의 완전한 중단이 아니라 벌채한 만큼 숲을 복구해 산림 손실을 막겠다는 취지로 해석한 것이다. <로이터> 통신은 마헨드라 장관의 해명이 인도네시아의 입장을 더욱 혼란스럽게 만들었다고 전했다.
인도네시아는 세계 열대 우림의 약 10%를 차지하며 브라질, 콩고와 함께 3대 열대우림 지역으로 분류된다. 2019년 한 해에만 벨기에의 절반 크기에 해당하는 삼림 지역이 불태워졌다. 최현준 기자
haoju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