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유가가 7년여 만에 최고 수준까지 상승한 26일(현지시각) 미국 메릴랜드의 한 주유소에서 고객이 기름을 넣고 있다. 베세즈다/EPA 연합뉴스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미국과 러시아의 갈등이 해소되지 않으면서 국제 유가가 급등했다.
국제 유가의 기준이 되는 브렌트유 가격이 26일(현지시각) 런던 거래소에서 3월물 기준으로 배럴당 90.47달러까지 올랐다가 89.96달러로 거래를 마쳤다고 <로이터> 통신 등이 보도했다. 브렌트유가 90달러를 넘어선 것은 2014년 10월 이후 7년 3개월만에 처음이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3월물 서부텍사스산 원유 선물 가격도 전날보다 1.75달러(2.04%) 상승한 배럴당 87.35달러를 기록했다. 서부텍사스산 원유 가격도 이날 한 때 2014년 10월 이후 최고치인 87.95달러까지 올랐다. 국제 유가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3월 금리 인상 시사 이후 소폭 하락세로 돌아섰다.
시장 전문가들은 우크라이나 침공이 우려되는 러시아에 대한 서방의 제재 가능성을 유가 상승세의 핵심 요인으로 분석했다고 미 경제 매체 <시엔비시>(CNBC)가 전했다. 투자 회사 ‘시아이비시(CIBC) 프라이빗 웰스’의 분석가 레베카 바빈은 “(우크라이나 관련) 긴장이 해소되지 않는 상황이 이어지면서, 앞으로도 원유 가격이 상승세를 보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미국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석유 공급 차질이 빚어지지는 않겠지만, 에너지 가격 상승 압박은 지속될 것으로 분석했다. 골드만삭스는 유가 재고가 10년째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셰일업계의 생산 확대 탄력성도 떨어진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골드만삭스는 브렌트유가 올해 3분기에 배럴당 100달러까지 올라갈 것으로 예상한 바 있다.
석유 수출국들의 모임인 ‘오펙+’의 원유 생산이 목표에 미달하고 미국의 생산량도 최고치 대비 100만 배럴 정도 적은 점도 유가 상승 압박을 더하고 있다고 <로이터> 통신이 지적했다. 에너지 분석기관 ‘리스태드’의 클라우디오 갈림버티 부사장은 “현재 석유 가격 흐름을 바꿀 수 있는 유일한 기관이 오펙”이라고 지적했다. ‘오펙+’는 2월2일 회의를 열고 증산 여부를 논의할 예정이다.
한편,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은 미국의 원유 재고가 지난주 237만7천 배럴 증가한 4억1620만 배럴로 집계됐다고 이날 밝혔다. 이는 재고가 80만 배럴 감소했을 것이라는 시장 분석가들의 예상을 뒤집는 결과다.
신기섭 선임기자
marishi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