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군의 우크라이나 수도 키예프에 대한 집중 공세가 재개된 27일 새벽(현지시각) 키예프 인근 바실키우의 유류 창고가 미사일 공격을 받아 화염에 휩싸였다. 바실키우/EPA 연합뉴스
러시아 군이 우크라이나 침공 나흘째로 접어든 27일 새벽(현지시각) 수도 키예프 인근에 두 발의 미사일을 발사하는 등 야간 총공세에 다시 나섰다. 러시아는 전날 새벽에도 일부 병력을 키예프 시내로 투입해 교전을 벌이고 키예프 공항 주변을 집중 공격했으며, 우크라이나 군의 강력한 저항에 직면해 낮 동안은 시내 진입 작전을 늦췄다.
미국 <시엔엔>(CNN) 방송은 이날 새벽 1시께 키예프에서 30㎞ 정도 떨어진 남서부 바실키우 지역에서 큰 폭발음이 들렸다고 보도했다. 이 지역에는 대규모 군 비행장과 유류 저장 시설이 있으며 26일에도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다고 방송은 전했다. <비비시>(BBC) 방송은 현지 언론을 인용해 바실키우의 유류 저장소가 미사일 공격을 받았다고 전했다. 소셜미디어에는 유류 저장소에서 거대한 검은 연기가 치솟는 동영상이 올라오고 있다고 방송은 덧붙였다. 유류 저장소 폭격 이후 키예브 시 당국은 폭격 현장에서 유독 물질이 퍼질 수 있다며 창문을 굳게 닫는 등 철저히 대비하라고 경고했다.
앞서 이날 자정 즈음부터 공습 경고 사이렌이 키예프 전역에 울렸다고 <비비시>가 전했다. 야당인 ‘홀로스당’의 레시아 바실렌코 의원은 26일 밤 11시께 트위터를 통해 “앞으로 30~60분 사이에 키예프가 지금까지 보지 못하던 대규모 공격을 당할 것”이라며 “러시아 군이 가진 무기를 총동원해 타격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키예프 시 당국은 이날부터 오후 5시~아침 8시 야간 통행 금지를 실시해 한밤 공습이 재개될 때까지 거리는 고요했다.
러시아 군이 이날 오전 북동부 지역의 우크라이나 2대 도시인 하르키우 시내에 진입했다고 현지 지방 정부가 밝혔다. 지방 정부는 “군 차량들이 시내로 뚫고 들어왔다”며 “우크라이나 군이 적들을 격퇴시키고 있으니 절대 대피소에서 나오지 말라”고 알렸다. 크림반도 주변 남부의 전략적 요충지인 노바카호우카도 러시아 군이 점령했다고 현지 언론들이 보도했다.
러시아 군의 키예프 점령 시도가 강력한 저항에 부닥치는 등 러시아 군이 예상보다 고전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미 국방부 당국자는 26일 브리핑에서 “우리가 관찰한 정보에 근거하면 (우크라이나의) 저항이 러시아가 예상했던 것보다 크다. 우린 러시아가 특히 (수도 키예프를 노리는) 우크라이나 북부에서 지난 24시간 동안 모멘텀을 얻지 못해 점점 더 좌절하고 있다는 신호를 얻고 있다”고 말했다. 영국 국방부도 짧은 성명을 내어 러시아 군이 “계획한 대로 전진하지 못하고 있다”며 “군수 물자 보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우크라이나 군의 저항도 거세다”고 평가했다.
러시아군은 키예프 외에 경제적으로 중요한 남부 해안 지역에서도 공세를 강화하고 있다고 <에이피>(AP) 통신이 보도했다. 통신은 “러시아의 공격이 키예프와 함께 흑해 연안의 항구 도시 오데사, 남동부 마리우폴에 집중되고 있다”고 전했다. 마리우폴에서는 우크라이나 방위군이 바다를 통한 접근을 차단하기 위해 교량을 통제하고 있다. 친러시아 분리주의 세력이 장악하고 있는 동부 돈바스 지역에서도 두쪽은 격렬한 전투를 이어갔다.
미국 ‘전쟁학 연구소’(ISW)가 분석한 26일 오후 8시 현재 러시아 군 점령 지역(붉은색). 전쟁학 연구소 트위터 갈무리
미국의 ‘전쟁학 연구소’(ISW)는 26일 오후 8시 현재 러시아군이 수도 키예프 북쪽 외곽부터 벨라루스 국경까지를 점령한 상태라고 분석했다. 또, 하르키우 주변 등 북동부 러시아 국경 지역, 남부 크림반도 인근인 헤르손과 마리우폴 주변, 동부 돈바스 분쟁 지역도 러시아 군의 통제 아래 놓였다고 전했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지금까지 교전 과정에서 약 3500명의 러시아 군인이 죽거나 다쳤다고 주장했다. 정부는 또 우크라이나 민간인 198명이 사망하고 1천명 이상이 다쳤다고 밝혔다. <시엔엔>은 26일 밤 서부 키예프에서 벌어진 교전 중 6살짜리 소년이 숨졌다고 현지 병원 관계자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 소년은 러시아 침공 이후 희생된 이들 가운데 가장 어릴 것이라고 <비비시>가 지적했다.
한편, 해커 집단 ‘어너니머스’는 27일 오전 러시아 내 체첸 자치공화국이 우크라이나 파병을 선언한 이후 공화국 정부 사이트를 공격해 마비시켰다고 주장했다. 이 집단은 25일 러시아에 대한 ‘사이버 전쟁’을 선포한 바 있다. 러시아 대통령실 공식 사이트도 26일 사이버 공격을 당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앞서, 미하일로 페도로프 우크라이나 부총리는 러시아의 사이버 공격에 맞설 ‘정보기술(IT) 군대’를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자국의 해커들에게 중요한 기간시설 방어와 러시아 군에 대한 정보 수집에 협조해줄 것을 촉구했다.
신기섭 선임기자
marishi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