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현지시각) 우크라니아 수도 키이우의 한 아파트 주민이 러시아군의 폭격으로 깨진 유리창 밖을 내다보고 있다. 키이우/AP 연합뉴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한달째로 접어든 가운데 수도 키이우 등 주요 교전 지역에서 우크라이나군의 반격이 성과를 올리면서 전쟁 장기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미국 <시엔엔>(CNN) 방송은 23일(현지시각) 키이우 북서부 등 수도 주변에서 두쪽이 격렬한 전투를 벌이는 것이 목격됐다고 보도했다. 이날 키이우 동부의 전투에서는 우크라이나군이 러시아군을 외곽으로 20㎞ 이상 후퇴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방송은 전했다. 미 국방부 관계자는 전날 키이우 도심에서 동쪽으로 25~35㎞까지 접근했던 러시아군이 55㎞ 지점까지 밀려났다고 전했다.
키이우 북서부쪽에서 접근하고 있는 러시아군은 도심에서 15~20㎞ 떨어진 곳에서 더 전진하지 못하고 방어 태세를 구축하기 시작했다. 우크라이나군은 키이우 서쪽에서도 강한 반격을 가해 러시아군이 점령하던 마카리우를 다시 탈환하는 데 성공했다고 영국 <비비시>(BBC) 방송이 현지 정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키이우 점령이 어려워진 가운데 러시아군은 시내에 대한 폭격을 계속하고 있다. <에이피>(AP) 통신은 러시아군이 이날 쇼핑센터와 고층 건물이 몰려 있는 구역에 로켓 공격을 가해 적어도 4명의 민간인이 다쳤다고 보도했다. 이날 키이우 주변 폭격으로 러시아 독립 언론 <인사이더>의 기자 옥사나 바울리나가 숨졌다. 북부 국경 지역 도시인 체르니히우에서는 주민 탈출과 물자 보급의 주요 경로에 있는 다리가 폭격으로 파괴됐다.
우크라이나 제2 도시인 동부 하르키우, 남부 흑해 연안의 헤르손 주변에서도 우크라이나군의 반격이 거세지고 있다고 <비비시>는 전했다. 우크라이나군은 지난 3일 러시아군이 점령한 헤르손을 탈환하기 위한 공세를 강화하고 있다. 또, 인근 소도시 보즈네센스크에서는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에서 두번째로 큰 강인 남부크강을 넘지 못하도록 저지하고 있다. 러시아군이 남부크강을 넘을 경우, 흑해 최대 항구도시인 오데사 인근까지 손쉽게 진격할 가능성이 높다.
영국 왕립합동군사연구소의 군사 분석관 저스틴 브롱크는 <비비시>에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여러 지역에서 진격에 실패하는 양상이 뚜렷하다”며 “러시아군이 전력을 보강한 뒤 한번에 한 지역씩 집중 공세를 펴는 방식으로 전술을 바꾸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러시아군이 특히 마리우폴과 남부 지역 공격에 집중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대피를 원하는 민간인 10만명이 발이 묶여 있는 마리우폴에서 이날 3천여명이 인근 자포리자로 빠져나오는 데 성공하는 등 모두 4500여명이 주요 교전 지역에서 탈출했다고 밝혔다.
전쟁이 장기화하면서 의료 시설 피해가 늘고 보건 상황도 계속 나빠지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전투가 한달째 이어지면서 지금까지 64곳의 의료 시설이 폭격 등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확인했다고 이날 밝혔다. 보건기구는 우크라이나 국내에서 전쟁을 피해 대피한 주민이 700만명에 달하며 이들 가운데 3분의 1은 만성적인 질병으로 고통받고 있다고 전했다. 우크라이나 전국의 약국 중 절반이 문을 닫은 것으로 보여, 만성 질환자들의 치료에 어려움이 크다고 보건기구는 설명했다.
신기섭 선임기자
marishi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