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에 투입된 러시아 군인들 가운데 유독 소수 민족 출신자들이 많이 희생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키이우 인근에서 숨진 러시아 군인들이 방치되어 있다. 키이우/로이터 연합뉴스
희망이 보이지 않은 러시아 변방을 벗어나려 군에 입대한 뒤 우크라이나 침공에 동원됐던 소수 민족 청년들이 잇따라 주검이 되어 고향으로 돌아오고 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시베리아 끝자락의 몽골 접경 지역인 부랴트 공화국 수도 울란우데에서 지난 28일(현지시각) 우크라이나에서 전사한 병사 4명의 장례식이 불교 승녀들의 주재로 열렸다고 30일 보도했다. 전사자 중 한명인 불라트 오도에프는 군 생활 10년째의 군인으로, 지난 15일 고향에서 6400㎞ 떨어진 우크라이나 키이우 인근에서 숨졌다. 그의 형수인 올가는 “그는 동료들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으려고 참전했다. 우리 가족은 (전쟁에 대해) 정부 당국과 생각이 달랐지만, 우리가 무얼 할 수 있겠나”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혼란스럽다. 이 유혈 사태를 끝내야 한다. 우리 청년들이 죽고 있다”고 탄식했다.
부랴트 공화국은 몽골계 부랴트족이 전체 인구의 40% 가량을 차지하는 러시아 변방 중에서도 변방이다. 주민들의 월 평균 급여는 4만4천루블(약 64만원)에 불과하다. 이런 빈곤을 탈출하기 위해 많은 젊은이가 군 입대를 선택하고 있다.
부랴트 지역 언론 <루디 바이칼라>는 부랴트 출신 전사 군인이 지금까지 45명 확인됐다며 실제 전사자는 훨씬 많을 것이라고 전했다. 인근의 투바 공화국 출신 군인도 지금까지 96명 숨졌으며, 카스피해 근처 산악 지역인 다게스탄 공화국에서도 적어도 130명의 전사자가 나왔다고 <가디언>은 전했다. 3개 공화국 출신 전사자 271명은 러시아 정부가 공식적으로 밝힌 전사 군인 1351명의 20%에 달한다. 인구를 감안할 때 불균형적으로 높은 비중이다.
러시아 군사 전문가 파벨 루진은 “부랴트 공화국 같은 가난한 ‘소수 민족’ 출신 군인들 중에 전사자가 많다는 것이 점점 분명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계급이 낮은 사병들은 주로 소수 민족 출신자들로 채워진다고 전했다. 루진은 “불행히도, 보통의 러시아인은 모스크바나 상트페테르부르크 출신 푸른 눈의 병사들이 숨졌을 때와 비교하면 부랴트나 다게스탄 출신 병사들의 전사에 신경을 덜 쓴다”고 지적했다. 군사 작전을 기획하는 간부들도 이를 알기 때문에 다른 병사들을 보내지 않을 곳에 소수 민족 군인들을 보낸다고 그는 덧붙였다.
군인들의 희생이 이어지면서 부랴트족 사이에서는 반전 목소리도 나타나고 있다. 부랴트 출신의 뱌체슬라프 마르하예프 국가두마(의회) 의원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가장 가까운 우리 이웃과 전면전을 벌인다는 계획을 숨겼다”며 우크라이나 침공을 비판했다. 외국에 거주하는 브랴트인들도 ‘전쟁에 반대하는 브랴트인들’이라는 반전 캠페인을 펼치고 있다. 하지만, 브랴트 현지는 두려움과 전쟁 지지가 교차하는 가운데 겉으로는 평온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가디언>은 전했다.
신기섭 선임기자
marishi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