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에너지 가격이 급등하자 영국과 헝가리가 에너지 기업에 대해 초과이윤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로이터 연합뉴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제 에너지 가격이 크게 오르자 영국과 헝가리가 에너지 기업에 초과이윤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영국 정부는 26일(현지시각) 석유와 가스업체에 25%의 초과이윤세를 부과하고 가계에는 150억파운드(약 23조8천억원)를 지원하기로 했다고 일간 <가디언> 등이 보도했다. 리시 수낙 영국 재무부 장관은 이날 의회에서 에너지 기업 이익에 일시적으로 25%의 세금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수낙 장관은 이를 통해 앞으로 1년 동안 50억파운드를 조달할 것이며, 석유·가스 요금이 정상으로 돌아가면 세금을 단계적으로 폐지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에너지 기업이 이익을 재투자하면 세금을 90% 경감해주겠다고 밝혔다.
영국 정부는 또 가계의 에너지 비용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오는 10월 모든 가구의 에너지요금을 400파운드(약 63만5천원) 깎아주기로 했다. 저소득층 800만 가구에는 생활비 보조금 650파운드가 추가 지원된다. 영국 전기·가스시장 규제기관인 오프젬(OFGEM)은 에너지요금 상한선이 지난 4월 54% 오른 데 이어 10월에 다시 40% 이상 오른 2800파운드가 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헝가리 정부도 올해와 내년에 에너지 기업 외에 은행, 보험사, 항공사 등에 8천억포린트(약 2조8천억원)의 초과이윤세를 부과하기로 했다고 <아에프페>(AFP) 통신이 이날 보도했다.
너지 마르톤 경제개발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어 에너지 부문과 금융계에서 각각 3천억포린트의 세금을 추가로 확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나머지 2천억포린트는 유통 업체, 보험사, 항공사, 통신 및 제약사로부터 확보할 계획이다. 너지 장관은 “기업의 이윤이 아니라 초과 이윤을 회수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오르반 빅토르 총리는 전날 국가비상사태 선포와 함께 초과이윤세 부과 계획을 밝혔다. 오르반 총리는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물가가 급등하고 있다며 초과이윤세 부과로 확보된 세금은 국방비와 에너지 요금 안정에 쓰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헝가리는 지난해 11월 이후 휘발유 가격을 리터당 480포린트로 억제하고 있는데, 앞으로 외국 자동차에 대해서는 시장 가격을 적용하기로 했다. 이는 주변국보다 값이 싼 헝가리에서 휘발유를 넣으려 몰려드는 외국 여행객을 막기 위한 조처라고 <아페프페>는 전했다.
신기섭 선임기자
marishi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