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라크 총선결과 공식발표
[7판] 13일 발표된 이라크 총선 결과 시아파 연합체인 통일이라크연맹(UIA)이 낙승을 거둔 가운데 압도적인 투표 참여율을 보였던 쿠르드족이 200만표 이상을 거머쥐며 일약 제2의 정치세력으로 떠올랐다. 이에 따라 향후 이라크 정국에서 쿠르드족의 위상이 한층 강화됨은 물론 주요 정책 결정과정에서 쿠르드족이 확실한 ‘캐스팅 보트’를 쥐게 됐다. 이라크 전체 인구의 약 15~20%에 불과한 쿠르드족이 전체 유효투표의 25% 이상을 얻은 것은 치안불안에 따른 낮은 투표율과 수니파의 집단 투표거부에 따른 반사이익으로 풀이된다. 최대 승자인 통일이라크연맹이 7석 차이로 과반의석 확보에 실패한데다, 이야드 알라위 현 임시정부 총리가 이끄는 이라크리스트도 유효투표의 13.6%를 얻는데 그치면서 쿠르드족은 한껏 고무돼있다. 곧 소집될 제헌의회가 주요 정책사항을 결정하기 위해선 재적의원 3분의 2 이상이 찬성해야 하는 탓에, 쿠르드족의 협력 없이는 어느 누구도 정국을 이끌어 갈 수 없는 형국이다. 시아파와 연정 구성 대통령직 유력
수니파 퇴장…저항공세 강해질수도
이에 따라 제헌의회 소집 뒤 새 정부 구성 과정에서 통일이라크연맹과 쿠르드족 사이의 연정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은 실질적 권한을 쥔 총리직을 시아파가 맡는 대신 쿠르드족이 상징적 국가원수인 대통령직에 오르는 형태가 유력하다고 내다봤다. 다만 선거를 통해 급부상한 쿠르드족이 무리한 권력 지분을 요구하거나, 북부 유전도시 키르쿠크의 쿠르드 자치지역 편입 문제 등에서 과도한 욕심을 부릴 경우 상황이 급변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한편, 이날 발표된 최종 선거결과 사담 후세인 정권 시절 정국을 주도했던 수니파가 사실상 정치무대에서 밀려나면서 선거 뒤 다시 불붙기 시작한 저항공세가 더욱 강력해 질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새 정부 구성과 제헌의회를 대신해 헌법안을 마련할 헌법위원회 인선과정에서 이들에 대한 적극적인 배려가 예상되지만, 이런 조처가 권좌에서 밀려난 수니파의 ‘상대적 박탈감’을 얼마나 덜어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
[7판] 13일 발표된 이라크 총선 결과 시아파 연합체인 통일이라크연맹(UIA)이 낙승을 거둔 가운데 압도적인 투표 참여율을 보였던 쿠르드족이 200만표 이상을 거머쥐며 일약 제2의 정치세력으로 떠올랐다. 이에 따라 향후 이라크 정국에서 쿠르드족의 위상이 한층 강화됨은 물론 주요 정책 결정과정에서 쿠르드족이 확실한 ‘캐스팅 보트’를 쥐게 됐다. 이라크 전체 인구의 약 15~20%에 불과한 쿠르드족이 전체 유효투표의 25% 이상을 얻은 것은 치안불안에 따른 낮은 투표율과 수니파의 집단 투표거부에 따른 반사이익으로 풀이된다. 최대 승자인 통일이라크연맹이 7석 차이로 과반의석 확보에 실패한데다, 이야드 알라위 현 임시정부 총리가 이끄는 이라크리스트도 유효투표의 13.6%를 얻는데 그치면서 쿠르드족은 한껏 고무돼있다. 곧 소집될 제헌의회가 주요 정책사항을 결정하기 위해선 재적의원 3분의 2 이상이 찬성해야 하는 탓에, 쿠르드족의 협력 없이는 어느 누구도 정국을 이끌어 갈 수 없는 형국이다. 시아파와 연정 구성 대통령직 유력
수니파 퇴장…저항공세 강해질수도
이에 따라 제헌의회 소집 뒤 새 정부 구성 과정에서 통일이라크연맹과 쿠르드족 사이의 연정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은 실질적 권한을 쥔 총리직을 시아파가 맡는 대신 쿠르드족이 상징적 국가원수인 대통령직에 오르는 형태가 유력하다고 내다봤다. 다만 선거를 통해 급부상한 쿠르드족이 무리한 권력 지분을 요구하거나, 북부 유전도시 키르쿠크의 쿠르드 자치지역 편입 문제 등에서 과도한 욕심을 부릴 경우 상황이 급변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한편, 이날 발표된 최종 선거결과 사담 후세인 정권 시절 정국을 주도했던 수니파가 사실상 정치무대에서 밀려나면서 선거 뒤 다시 불붙기 시작한 저항공세가 더욱 강력해 질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새 정부 구성과 제헌의회를 대신해 헌법안을 마련할 헌법위원회 인선과정에서 이들에 대한 적극적인 배려가 예상되지만, 이런 조처가 권좌에서 밀려난 수니파의 ‘상대적 박탈감’을 얼마나 덜어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