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돌리자 라이스 미국 국무장관이 이라크 석유자원 수입을 지역 간에 분할통제할 것이라고 말해, 이라크 분할을 염두에 두고 있다는 관측을 낳고 있다. 이라크의 석유 이익 분배는 종파분쟁의 근본원인 중 하나이다.
라이스 장관은 3일(현지시각) <블룸버그> 텔레비전과의 인터뷰에서 “이라크는 자원 이용에 지금과 같은 중앙집권적 시스템을 갖게 되지 않을 것”이라며 “이런 방식이 좋은 듯한데, 석유에 대한 중앙집권적 시스템은 부패를 낳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또 이라크인들이 “다른 중동 국가들보다 훌륭한 시스템을 갖추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발언에 대해 케네스 카츠만 미 의회 조사국 분석가는 이라크 정책 변화를 함축하고 있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카츠만은 <블룸버그> 통신과 인터뷰에서 “미국의 기존 정책은 이라크의 강력하고 통합적인 정부를 지지하는 것이었다”며, 그러나 라이스 장관의 발언은 “지역자치를 옹호하는 쪽으로 기운 듯하다”고 분석했다.
라이스 장관의 말은 시아파 주도의 이라크 정부가 연방제 개헌을 추진하고, 일부에서 석유자원 배분을 계획하고 있는 것과 흐름을 같이 한다. 시아파, 수니파, 쿠르드족이 연방제 아래에서 독자적인 권력을 보장받는 체제를 구축하는 게 이라크 종파분쟁 종식을 위한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는 것이다. 이런 계획은 자신들의 밀집지역에 많은 석유자원을 지닌 시아파와 쿠르드족한테 지지를 많이 받는다. 그러나 남동부의 시아파나 북부 쿠르드족과 달리 석유 매장량이 적은 중부의 수니파는 분할이나 연방제가 불리하다고 보고 있다. 이 때문에 정치적으로는 이라크를 갈라놓되, 석유 이익만큼은 인구분포에 따라 나눠갖자는 아이디어가 나오고 있다.
미국서 분할통제론 ‘솔솔’
시아파·쿠르드족도 지지
석유 적은 수니파 불리해
후세인 선고 ‘긴장 고조’ 미국 정치권과 언론 일각에서도 이라크를 ‘사실상’ 분할하자는 아이디어가 솔솔 나오고 있다. 미 행정부는 공식적으로는 “통합되고 자유로운” 이라크 건설이라는 전쟁 개시 이래의 목표를 포기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연간 90억달러의 전비와 3천명을 바라보는 전사자, 종파분쟁 격화 때문에 더 이상 이런 목표에 매달릴 수 없다는 지적도 많다. 시사주간 <뉴스위크> 최신호는 미국이 모든 것을 잃은 베트남전쟁의 길을 갈 게 아니라 반쪽이라도 건진 한국전쟁 결과에 눈을 돌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14만4천여명의 미군을 줄여 ‘테러와의 전쟁’에 필요한 군사거점을 확보하고, 사실상의 독립을 얻은 쿠르드족 지역을 보호하는 쪽으로 목표를 낮춰잡아야 한다는 내용이다. 일부에서는 석유자원을 미국이 확보해야 할 대상으로 꼽는다. 그러나 이라크 분할에는 주변국인 이란, 시리아, 터키 등이 자국 영토 안의 쿠르드족 때문에 완강한 반대의사를 지녀 큰 장애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편, 5일 사담 후세인 전 대통령에 대한 선고공판을 앞두고 바그다드 등 이라크 주요지역에 통행금지령이 내리고 항공기 이착륙이 금지되는 등 긴장이 흐르고 있다. 누리 알말리키 총리는 전날 국민에게 “자중하라”고 촉구했다. 선고를 앞두고 바그다드 등지에서 무장세력의 공격이 강화된 가운데, 미군과 이라크 정부군은 4일 바드다드 남부에서 무장세력 53명을 사살했다고 밝혔다.
후세인 전 대통령은 1982년 7월 시아파 거주지역인 두자이마을에서 자신에 대한 암살기도가 있은 뒤 마을 사람 148명을 처형하게 한 혐의로 재판을 받아왔고, 검찰은 6월 사형을 구형했다. 이본영 기자 ebon@hani.co.kr
시아파·쿠르드족도 지지
석유 적은 수니파 불리해
후세인 선고 ‘긴장 고조’ 미국 정치권과 언론 일각에서도 이라크를 ‘사실상’ 분할하자는 아이디어가 솔솔 나오고 있다. 미 행정부는 공식적으로는 “통합되고 자유로운” 이라크 건설이라는 전쟁 개시 이래의 목표를 포기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연간 90억달러의 전비와 3천명을 바라보는 전사자, 종파분쟁 격화 때문에 더 이상 이런 목표에 매달릴 수 없다는 지적도 많다. 시사주간 <뉴스위크> 최신호는 미국이 모든 것을 잃은 베트남전쟁의 길을 갈 게 아니라 반쪽이라도 건진 한국전쟁 결과에 눈을 돌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14만4천여명의 미군을 줄여 ‘테러와의 전쟁’에 필요한 군사거점을 확보하고, 사실상의 독립을 얻은 쿠르드족 지역을 보호하는 쪽으로 목표를 낮춰잡아야 한다는 내용이다. 일부에서는 석유자원을 미국이 확보해야 할 대상으로 꼽는다. 그러나 이라크 분할에는 주변국인 이란, 시리아, 터키 등이 자국 영토 안의 쿠르드족 때문에 완강한 반대의사를 지녀 큰 장애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편, 5일 사담 후세인 전 대통령에 대한 선고공판을 앞두고 바그다드 등 이라크 주요지역에 통행금지령이 내리고 항공기 이착륙이 금지되는 등 긴장이 흐르고 있다. 누리 알말리키 총리는 전날 국민에게 “자중하라”고 촉구했다. 선고를 앞두고 바그다드 등지에서 무장세력의 공격이 강화된 가운데, 미군과 이라크 정부군은 4일 바드다드 남부에서 무장세력 53명을 사살했다고 밝혔다.
후세인 전 대통령은 1982년 7월 시아파 거주지역인 두자이마을에서 자신에 대한 암살기도가 있은 뒤 마을 사람 148명을 처형하게 한 혐의로 재판을 받아왔고, 검찰은 6월 사형을 구형했다. 이본영 기자 eb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