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시정부 ‘중국 포위전략’ 탈피
‘미-중-일 협력관계’ 구축할듯
‘미-중-일 협력관계’ 구축할듯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이 20일 베이징에 도착해 사흘간의 일정에 들어갔다. 국무장관 취임 이후 처음인 그의 방중은 세계적인 경제 위기 속에서 등장한 버락 오마바 대통령의 미국이 중국과 어떤 관계를 설정할 것인가를 가늠하게 하는 이정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과 중국은 클린턴 장관의 방중을 이번 아시아 순방의 핵심으로 보고 있다. <워싱턴 포스트>는 15일 중국과의 관계 증진과 협력 방안 모색이 이번 아시아 방문의 요체라고 분석했다. 중국 반관영 통신사인 <중국신문>도 “그의 방중은 이번 아시아 순방의 종착역”이라며 “중요한 것 가운데 가장 중요한 일정”이라고 평했다.
클린턴 장관은 미-중 전략대화의 획기적인 강화를 제안할 것으로 보인다. 앞선 방문지인 일본에서 미-일 동맹을 거듭 강조한 것에 비춰보면 미국의 동북아시아 전략이 ‘미-일 동맹’을 발판으로 ‘미-중-일 협력관계’를 구축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임을 시사한다. ‘미-일 동맹’을 축으로 중국을 포위하려 했던 조지 부시 전 정부의 태도와는 사뭇 다르다.
이를 위해 클린턴 장관은 위안화 환율, 대만, 티베트 문제 등 전통적 의제 외에도 기후변화, 환경 등 새로운 주제를 대화에 포함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과 포괄적 협력관계를 구축하려는 포석이다. 클린턴 장관은 13일 뉴욕 아시아소사이어티 연설에서 “중국과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할 것”이라며, 미국과 중국의 관계를 ‘같은 배를 타고 강을 건넌다’는 뜻의 동주공제(同舟共濟)에 빗댄 바 있다.
미국은 특히 두 나라의 경제협력을 강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국채를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중국의 협력은 미국의 경제 회복에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위안화 환율이나 인권 문제 같은 껄끄러운 사안들은 제한적인 범위에서 거론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역시 기후변화와 관련해 미국과 협력함으로써 우호적인 분위기를 연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클린턴 장관은 이날 베이징으로 떠나기 전, “중국의 인권문제, 대만과 티베트 문제 등이 다른 폭넓은 이슈들에 대한 합의 도달에 방해가 돼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다년간 서로 다른 의견을 보여왔다는 점을 인정하는게 더 나을 것”이라며 “대신, 세계적 금융위기와 안보위협, 기후변화 등과 같은 의제에 집중하는 게 좋을 것”이라고도 말했다.
두 나라는 지난해 10월 미국의 대만 무기 판매 결정으로 중단된 군사교류를 재개하기로 하는 등 군사협력도 강화하고 있다. 두 나라는 27~28일 베이징에서 국방회담을 열어 소말리아 해적 소탕 등 세계안보와 관련된 문제를 협의할 예정이다.
베이징/유강문 특파원 m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