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은 안보 걱정 때문에 40년전부터 핵무기 찾았다”
“옛 공산권 문서들을 보면 북한이 언제나 안보 맥락에서 핵무기를 추구했음을 알 수 있다. 북한이 40년 전부터 핵무기를 얻으려 했던 것은 안보를 결코 동맹국들에 의존할 수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미국 우드로윌슨센터의 ‘냉전국제사 프로젝트’ 한반도 책임자인 캐서린 웨더스비 연구원은 3년 전부터 옛 소련과 동유럽, 중국 등에서 비밀 해제된 북한 관련 기록을 뒤지고 있다. 한반도 냉전의 실상과 북한식 사고방식의 뿌리를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증거’를 찾기 위해서다. 그는 현재 서울에 머물면서 프로젝트에 참여할 파트너를 찾고 있다.
그는 “기록을 보면 김일성 주석은 한국전쟁 이래 미국의 핵공격 가능성을 항상 의식하고 핵기술과 시설을 손에 넣을 수 있는 길을 백방으로 알아봤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국제적십자사 문서를 보면, 일본 정부가 재일교포 북송을 지원한 것은 인도적 차원에서가 아니라, 재일교포의 범죄율이 높고 빈곤한 가정이 많아 이들에 대한 재정 부담이 느는 것을 꺼려했기 때문이라는 점이 드러난다”고 주장했다
그는 대한항공기 폭파 사건, 랭군 폭탄테러 사건 등에 대해서도 새로운 사실을 찾고 있다. 그는 “최근 동독 문서보관소에서 비밀경찰의 1987∼1989년 문서를 대량 입수했다”며 “고르바초프가 개방·개혁을 추진하면서 북한이 소련을 믿지 못하고 동독에 더 의존했던 만큼 관련 정보가 분명히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1983년 4월27일 (동독의 비밀정보기관인) 슈타지 보고서에 ‘북한은 압력에 직면해 있다. 정치적으론 한국이 올림픽 유치권을 따냈기 때문이다’는 문구가 있다”며 “이것이 랭군 사건의 배경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김영삼 대통령 때 보리스 옐친 당시 러시아 대통령이 러시아 소장 한국전쟁 관련 기록 약 200건을 한국에 넘겨주긴 했으나, 이 문서들은 편집된 것이고 원전은 아니다”라며 “냉전 후 빛을 보기 시작한 북한 관련 기록들에 대한 연구는 이제 시작단계”라고 말했다.
유강문 기자, 연합 m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