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린 미 합참의장 “한반도 안정에 중국도 책임 느껴야”
천빙더, 김관진 국방장관 만나 “미국은 패권주의 상징”
천빙더, 김관진 국방장관 만나 “미국은 패권주의 상징”
거의 같은 시각, 중국과 미국이 한국을 사이에 두고 서로에 대한 불편함을 표했다.
주한미군사령관 이·취임식 참석차 한국을 찾은 마이크 멀린 미 합참의장이 한반도 정세 안정과 관련해 중국의 책임을 강조했다. 멀린 의장은 14일 오후 서울 용산기지에서 열린 내·외신 기자간담회에서 “한반도의 평화, 안정은 한·미 책임을 넘어 역내 (국가들의) 책임이 있다고 생각된다”며 “한반도 안정에 대해 주변국이 책임을 통감해야 한다. 여기에는 중국도 포함된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의 파워, 능력이 증대되고 경제대국으로 발전함에 따라 그만큼 이에 상응하는 역내 글로벌 차원의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하는 한편, “한·미·일 세 나라가 군사적으로 계속 협력하는 미래전략을 채택할 것이며 단계적으로 진행해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반도를 둘러싼 불안한 정세에 관해서는 중국의 책임을 강조하되, 한편으로는 한·미·일 군사동맹의 필요성을 노골적으로 밝힌 것이다.
이날 오후 중국에서는 천빙더 중국 인민해방군 총참모장이 김관진 국방장관과의 회담에서 작심한 듯 미국을 비난했다. 그는 미국이 남중국해 분쟁에 개입할 생각이 없다면서도 베트남, 필리핀과 군사훈련을 벌인 것 등을 비판하고, 대만에 미국이 무기를 판매하면 양국관계에 나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그는 “미국 사람들과 무슨 문제를 토의할 때는 어려움이 많다. 한국도 미국과 동맹이지만 그런 느낌을 받을 것”이라며 “패권주의는 항상 패권주의에 맞는 행동이나 표현을 하는데 미국이 하는 것은 패권주의의 상징”이라고 불만을 토했다.
이와 관련해 우리 군의 합참의장에 해당하는 천빙더 총참모장이 외국의 국방장관을 만나 모두발언에서 이같이 다른 나라와의 사안을 길게 쏟아낸 것을 두고 군사외교 관례를 무시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한편 김 장관은 이날 오후 중국의 차기 지도자인 시진핑 국가 부주석을 예방하고 최근 탈북해 중국에 거주하고 있는 국군포로 가족 5명의 조기송환을 요청했다. 이에 대해 시 부주석은 “관계 부처가 한국 정부와 연락을 유지해 가면서 협의하도록 하겠다”고 답변했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