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나르 아르노(63) 루이뷔통 회장
세계4위 부자 아르노 루이뷔통 회장
부유층 최고세율 75% 추진에 반발
1981년 사회당 정권때도 이민 전력
우파는 ‘부자 엑소더스’ 논란 부추겨
부유층 최고세율 75% 추진에 반발
1981년 사회당 정권때도 이민 전력
우파는 ‘부자 엑소더스’ 논란 부추겨
프랑스 정부의 부자증세에 반대해온 프랑스 최고 갑부 베르나르 아르노(63·사진) 루이뷔통 회장이 벨기에 국적을 신청했다. 특히 프랑스 정부가 부자증세 방침을 재확인한지 하루만에 이 소식이 전해져, ‘부자 엑소더스’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벨기에 일간 <리브르벨지크>는 8일 “아르노 회장이 지난주 벨기에 국적을 신청했다”며, “4만7000여명의 다른 신청자들과 똑같이 처리할 것”이라는 조르주 달레마뉴 귀화위원장의 발언을 보도했다.
최고세율이 53.7%인 벨기에는 3년 이상 거주한 외국인에 대해 국적신청 자격을 준다. 프랑스 북부 출신의 아르노 회장은 재산이 420억달러(약 47조4400억원)에 이르며 유럽 1위, 전세계 4위 갑부다. 주로 파리에 머물고 있지만 브뤼셀에 자택을 소유하고 있고, 사업적으로도 벨기에와 오랜 관계를 맺어온 것으로 알려졌다. 논란이 확산되자 아르노 회장 쪽은 해명자료를 내어 “아르노는 프랑스의 납세자로 남을 거라는 점을 강조했다”고 밝혔다. 사업 목적상 이중국적을 취득할 수 있으나, 세금회피 목적은 아니라는 주장이다.
이런 해명에도 불구하고 아르노 회장의 ‘전적’ 탓에 논란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르피가로>는 아르노 회장이 좌파 정부의 세금 정책에 강하게 반대해 왔으며, 지난 5일에도 장마르크 에로 총리를 만나 증세로 인해 국가경쟁력이 악화될 거라는 우려를 표명했다고 전했다. 아르노 회장은 1981년 사회당 출신 프랑수아 미테랑 대통령이 당선된 이후 프랑스를 떠난 적도 있다. <아에프페>(AFP) 통신은 당시 그가 미국에서 3년간 거주했으며, 사회당 경제 정책이 약간 오른쪽으로 방향을 튼 뒤 프랑스로 돌아왔다고 소개했다.
아르노 회장의 소식이 알려지기 하루 전인 7일 피에르 모스코비시 재무장관은 부자 증세안을 “엄격하게 시행하겠다”고 밝혀, ‘설마’ 하던 부자들의 기대에 찬물을 끼얹었다.
프랑수아 올랑드 대통령은 대선후보 시절 연소득 100만유로(약 14억3000만원) 이상의 고소득자에 대해 최고세율 75%를 적용하겠다고 공약했다. 언론에서는 부자들의 거센 반발로 정부가 최고세율 적용 기준을 부부합산 200만유로 이상으로 높이고 자본이득은 이 기준에서 제외할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 최고세율 75% 방안은 이달말 확정될 2013년 예산안에 포함될 예정이다.
야당 대중운동연합(UMP) 등 우파들은 아르노 회장 사건을 부자증세안 비판의 호재로 활용하고 있다. 사르코지 전 정권에서 총리를 지낸 프랑수아 피용은 “세계 최고 기업 대표가 세금 때문에 국적을 바꿀 수 있다”며 “어리석은 결정이 골치아픈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비난했다.
전정윤 기자 ggum@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방학땐 아침8시부터 밤12시까지 과외, 차라리…”
■ 초졸·구로공단 생활…김기덕 ‘문제적 삶’
■ “‘김기덕 시나리오 자극적이다’고 많이들 악평 했다”
■ 이 대통령 “일왕 방한 희망이 본뜻이었는데…”
■ SNS로 시민축제 된 ‘24인용 텐트 혼자 치기’
■ 노점상 막겠다며…인도 점령한 220개의 화분
■ [화보] 알록달록 색 입은 가을
■ “방학땐 아침8시부터 밤12시까지 과외, 차라리…”
■ 초졸·구로공단 생활…김기덕 ‘문제적 삶’
■ “‘김기덕 시나리오 자극적이다’고 많이들 악평 했다”
■ 이 대통령 “일왕 방한 희망이 본뜻이었는데…”
■ SNS로 시민축제 된 ‘24인용 텐트 혼자 치기’
■ 노점상 막겠다며…인도 점령한 220개의 화분
■ [화보] 알록달록 색 입은 가을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