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적·난민문제 등 난제 산적
소말리아에서 독재정권 몰락 이후 21년 만에 연방정부 대통령이 선출됐다.
소말리아 국회는 10일 하산 셰이크 모하무드(56)가 국회 2차 투표에서 샤리프 아흐마드 과도정부 대통령을 190표 대 79표로 누르고 연방정부 대통령에 당선됐다고 밝혔다. 국제사회는 내전으로 폐허가 된 소말리아를 변화로 이끌 큰 걸음으로 평가했다.
모하무드 대통령은 수도 모가디슈 등 중부의 대표 부족인 하위예족 출신으로, 유니세프와 평화·개발 관련 시민단체에서 활동한 경력이 있다. 대학강사로 일하다 2011년 평화개발당을 창당하면서 정치권에 입문했다. 국제위기감시기구가 “아무도 승리를 예상 못했다”고 평가할 정도로 정치신인이다. <에이피>(AP) 통신은 “소말리아의 국회의원들이 변화를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며 아흐마드 전 과도정부 수반이 각종 부패 의혹에 연루돼 있다고 전했다. 아흐마드도 “선거결과에 충분히 만족한다”며 새 대통령에게 축하를 건넸다.
그러나 모하무드 대통령에겐 해결이 쉽지 않은 난제들이 산적해 있다. 4년간의 과도정부 체제를 종식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국제사회의 골칫거리가 된 해적과 난민 문제 풀어야 한다. 2011년 모가디슈에서 쫓겨났으나 소말리아 중·남부를 장악하고 있는 알카에다 연계 이슬람 근본주의 반군 조직인 알샤바브도 제압해야 한다. 그는 당선 직후 “(선거결과는) 옳은 방향으로 나아가는 조처지만, 소말리아의 문제가 너무 커서 혼자 이 문제를 풀 수는 없다”며 국가 재건을 위한 협력을 당부했다.
소말리아는 1969년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독재자 시아드 바레가 1991년 반군에 쫓겨난 이후 내전이 지속되는 무정부 상태였다. 2004년부터 유엔의 지지를 받는 과도정부 체제를 유지해왔으며, 지난달 연방정부 제도를 도입한 새 헌법을 채택하고 새롭게 국회를 구성한 바 있다. 전정윤 기자 ggum@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교통사고 낸 정준길 “정신적 스트레스가 심하다”
■ “박근혜 관련 공익재단 4곳 재벌계열사처럼 운영”
■ 깜짝 ‘출마예고’ 안철수, 문재인 지지율 역전탓?
■ 10대 소녀들을 접대부로…‘나쁜 어른들’ 적발
■ ‘아이폰5’ 삼성-애플 대결구도 바꾸나
■ 41살된 야쿠르트, 얼마나 팔렸을까?
■ [화보] 베니스의 별 ‘피에타’의 주인공들
■ 교통사고 낸 정준길 “정신적 스트레스가 심하다”
■ “박근혜 관련 공익재단 4곳 재벌계열사처럼 운영”
■ 깜짝 ‘출마예고’ 안철수, 문재인 지지율 역전탓?
■ 10대 소녀들을 접대부로…‘나쁜 어른들’ 적발
■ ‘아이폰5’ 삼성-애플 대결구도 바꾸나
■ 41살된 야쿠르트, 얼마나 팔렸을까?
■ [화보] 베니스의 별 ‘피에타’의 주인공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