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버클리대 ‘기후변화와 폭력’ 연구
“인도 가뭄·미국 폭염 때 범죄 급증
농작물 감소 외 심리적 요인 작동”
“불평등·종족갈등이 원인” 반론도
“인도 가뭄·미국 폭염 때 범죄 급증
농작물 감소 외 심리적 요인 작동”
“불평등·종족갈등이 원인” 반론도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가 지금과 같은 속도로 계속된다면 인류의 후손은 더 폭력적인 세상에서 살게 될 듯하다. 영국 <비비시>(BBC)가 1일 보도한, 기후변화와 폭력의 상관성에 대한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 연구팀의 연구 결과를 보면 그렇다. 버클리대 연구팀은 지난 수백년 동안 세계에서 벌어진 공격·성폭력·살인·분쟁·내전 등과 관련한 60개 사례를 연구한 결과, 기온·강수량 변화가 폭력과 깊은 상관성을 지닌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들의 논문은 과학 전문지 <사이언스> 8월호에 실렸다.
이 연구팀은 기온 상승, 폭우 등 기후변화 규모를 계량화한 뒤 개인간, 집단간 폭력의 빈도를 조사했다. 이에 따르면 온도가 2℃ 오를 때마다 개인간 범죄는 15% 더 많이 발생하고, 집단 분쟁은 지역에 따라 50% 넘게 늘었다. 최근 인도에서 극심한 가뭄 때 폭력이 증가한 것, 미국 전역을 폭염이 휩쓸었을 때 성폭력·살인 등이 늘어난 사실을 포함해 아프리카 내전, 유럽에서의 종족간 분쟁 등 더 큰 규모의 폭력도 기온 상승과 관련돼 있다고 연구팀은 주장했다.
이들은 기후변화에 따라 폭력이 느는 데에는 경제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이 작동한다고 분석했다. 논문 공동저자인 마셜 버크는 <비비시>에 “기후변화가 폭력을 증가시키는 메커니즘은 농작물 생산 감소 등 경제적 변화라고 할 수 있다”며 “많은 사람이 경제적 상황에 따라 반란 가담 여부를 결정한다는 수많은 증거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일부 사례는 기후변화가 사람들의 공격성을 높이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2009년엔 이 연구팀이 아프리카 사하라 이남 지역에서 1981~2002년 사이에 1000명 넘게 숨진 분쟁들을 대상으로 분쟁과 기후변화의 관련성을 분석한 바 있다. 이들은 이 논문에서 이 지역의 농업은 기후변화에 아주 민감해 온도가 조금만 올라도 식량 생산이 줄어들며, 기온 상승이 지금처럼 계속된다면 앞으로 20년 동안 분쟁이 50% 넘게 늘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는 앞으로 아프리카에서 벌어지는 폭력에 국제사회가 좀더 책임 있는 태도를 취해야 한다는 권고로 이어진다.
하지만 이 연구 결과에 대한 반론도 만만치 않다. 오슬로국제평화연구소의 선임연구원인 할바르 부헤우는 “기후의 가변성을 측정하는 방법, 내전이나 분쟁을 정의하는 방법 등이 다양해 그에 따라 연구 결과가 다 달라진다”며 “내전은 기후보다는 경제적 불평등, 종족간 갈등, 역사·정치·경제적 불안정 등 전통적인 요인과 더 깊은 상관관계를 지닌다”고 반박했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김한길 대표 “박 대통령, 나랑 일대일로 담판합시다”
■ 성재기의 기이한 죽음…그는 제2의 ‘미시마 유키오’가 되려 했나
■ 30명 성폭행·살해 ‘공포의 살인마’, 알고보니 그저 ‘과대망상’ 환자?
■ [화보] 1950년대부터 90년대까지 해수욕장 풍경 변천사
■ [화보] 한집 같은 두집, 따로 또 같이 산다
■ 김한길 대표 “박 대통령, 나랑 일대일로 담판합시다”
■ 성재기의 기이한 죽음…그는 제2의 ‘미시마 유키오’가 되려 했나
■ 30명 성폭행·살해 ‘공포의 살인마’, 알고보니 그저 ‘과대망상’ 환자?
■ [화보] 1950년대부터 90년대까지 해수욕장 풍경 변천사
■ [화보] 한집 같은 두집, 따로 또 같이 산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