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람권 “학살 멈춰라” 한목소리
이집트 과도정부가 14일 무함마드 무르시 대통령 지지자들을 무력으로 해산하자, 유럽 등 국제사회가 즉각적인 폭력 중단과 재발 방지를 촉구하고 나섰다. 무르시 대통령 축출에 반대했던 이슬람 국가들은 이를 ‘학살’로 규정하고 일제히 비난 성명을 발표했다.
아랍권 위성방송 <알자지라>는 유럽연합(EU)이 이집트 당국에 유혈사태 중단을 촉구했다고 보도했다. 캐서린 애슈턴 외교·안보 고위대표의 대변인 마이클 만은 “사망자와 부상자 보고들이 극도로 우려스럽다”고 표명했다. 이어 “폭력으로는 어떤 해법에도 이를 수 없다는 점을 재차 밝힌다. 이집트 당국에 극도의 자제를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윌리엄 헤이그 영국 외무장관도 “시위대 해산을 위한 물리력 사용을 비난하며, 보안군이 자제력을 가지고 행동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집트 카이로를 직접 방문해 군부와 시위대를 중재하기도 했던 독일의 기도 베스터벨레 외무장관은 “이집트의 모든 정치세력은 폭력사태가 악화하지 않도록 대화로 복귀해야 한다. 추가 유혈사태를 막아달라”고 호소했다.
터키와 이란, 카타르 등은 이집트 군부의 유혈 진압을 ‘학살’로 규정했다.
압둘라 귈 터키 대통령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와 아랍연맹이 ‘이집트 학살’을 멈추기 위한 즉각적인 조처를 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귈 대통령은 “무장 군인이 시민들의 시위에 개입한 것은 용납할 수 없고, 어떤 이유로도 정당화될 수 없다. 국제사회의 침묵은 이집트 당국의 유혈 진압을 위한 길을 닦아주는 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터키는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총리와 아흐메트 다부토을루 외무장관이 이집트 당국자와 전화통화를 하는 등 외교채널을 통해서도 사태에 개입하고 나섰다.
이란 정부는 이집트 군부의 시위대 해산 작전이 “학살”이라며 반발했다. 이란 외무부는 성명을 통해 “카이로에서 폭력의 증가가 내전 상황과 비슷하다. 학살 행위를 강력히 비난한다. 이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지난해 무함마드 무르시 대통령 취임 이후 80억달러를 지원하기도 했던 카타르는 이날 외무부 대변인 성명에서 “라비아 아다위야와 나흐다 광장에서 평화 시위에 나선 무고한 시민의 사망을 초래한 이집트 당국의 조처를 강력히 비난한다”고 밝혔다. 전정윤 기자 ggum@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담뱃재 털고 침 뱉은 물 맞으며 촬영했다”
■ 전두환 차명재산 수십억 첫 확인…한남동 노른자위땅 매매
■ 일본인들은 왜 욱일기를 휘날리나
■ [화보] 인간 한계에 도전하는 명승부 명장면들
■ [화보] 5월 광주처럼…이집트 시위대 유혈진압
■ “담뱃재 털고 침 뱉은 물 맞으며 촬영했다”
■ 전두환 차명재산 수십억 첫 확인…한남동 노른자위땅 매매
■ 일본인들은 왜 욱일기를 휘날리나
■ [화보] 인간 한계에 도전하는 명승부 명장면들
■ [화보] 5월 광주처럼…이집트 시위대 유혈진압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