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모디 백악관서 정상회담
대량살상무기 확산에 공동대응
중국 겨냥 해양안보협력 등 강화
무역협정 등 큰 현안은 진전없어
대량살상무기 확산에 공동대응
중국 겨냥 해양안보협력 등 강화
무역협정 등 큰 현안은 진전없어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주최한 만찬 자리엔 풍성한 음식이 나왔지만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식사를 하지 않았다. 두 정상이 논의한 주제는 경제 협력부터 기후변화 대응 그리고 우주 탐사에 이르기까지 광대했지만, 양국간 이견이 큰 주요 현안에서는 구체적인 성과가 나오진 않았다. 원자력협정 등의 이견으로 껄끄러운 관계였던 미국과 인도가 올해 5월 취임한 나렌드라 모디 총리의 미국 방문을 계기로 관계 개선을 모색했다.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모디 인도 총리는 30일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열고 안보·경제 현안과 양국 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더 공고하게 할 방안을 논의했다.
두 정상은 공동성명에서 “양국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는 평화와 번영을 향한 공동 노력”이라며 “깊은 논의와 공동 훈련, 기술 공유를 통해 테러와 인도적 재난, 대량살상무기 확산 등에 공동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성명은 “두 나라는 국제법 원칙에 따라 항행의 자유를 확보하고 합법적 운송·상업활동이 방해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해양안보 협력을 강화하는데 합의한다”고 밝혔다. 이는 남중국해에서 중국 및 아세안 국가들 사이에서 벌어지고 있는 영유권 갈등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미국 언론들은 두 나라간 이견이 큰 현안에서는 진전이 별로 없었다고 해석했다. 세계무역기구(WTO) 무역원활화협정(TFA)과 관련해, 인도는 7월 말 저소득층에 대한 식품 보조금 지급 재량을 요구하면서 이 협정을 거부했다. 또 미-인도 원자력협정을 두고도 갈등을 빚어왔다. 미국과 인도는 테러리즘 대처에 대해 협력한다고는 했지만, 인도 정부는 미국의 이슬람국가(IS) 공습에 협력한다는 뜻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인도를 중국 견제를 위한 주요 파트너로 여기는 오마바 대통령은 모디 총리를 매우 극진하게 대우했다. 29일에는 힌두교도로 단식중인 모디 총리를 배려해 간소한 비공개 만찬을 열었다. 백악관 요리사는 아보카도와 염소 치즈, 넙치 요리를 마련했지만, 모디 총리는 힌두교 단식 기간이라며 따뜻한 물만 마셨다. 30일 정상회담이 끝난 뒤에는 오바마 대통령이 백악관 근처 마틴 루터 킹 주니어 기념관을 직접 안내해줬다. 인권 운동가로 1968년 암살당한 킹은 생전 인도 마하트마 간디의 비폭력 저항 운동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인권 단체들은 구자라트주 총리 시절 무슬림 학살을 방조한 의혹을 받고 있는 모디 총리를 오바마 대통령이 마틴 루터 킹 기념관으로 안내한 데 대해 “놀랐다”는 반응이라고 <뉴욕 타임스>는 전했다.
워싱턴/박현 특파원, 조기원 기자 hyun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