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미국 국가안보국(NSA)의 무차별 통신정보 수집 실태를 폭로한 뒤 러시아에서 임시 망명 생활을 하는 에드워드 스노든이 트위터에 계정을 만들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공간에서 본격적인 공개 활동에 나섰다.
29일(이하 현지시간) 트위터와 미국 언론들에 따르면 스노든은 '@Snowden' 계정을 만들어 이날 오전부터 사용하기 시작했고, 트위터는 이 계정의 사용자가 스노든 본인임을 인증했다.
스노든의 계정에 실린 글을 구독하는 '팔로어'는 계정이 생긴 지 약 8시간여 만에 71만 명을 넘어서며 급증했다.
하지만, 스노든은 오직 NSA의 트위터 계정에 대해서만 실린 글을 받아보는 '팔로잉'을 하고 있다.
스노든은 프로필 란을 통해 "나는 정부를 위해 일했지만, 이제는 대중을 위해 일한다"고 소개하고 "이제 내가 들리나요?"(Can you hear me now?)는 첫 글로 트위터를 개시했다.
그는 최근 스노든에게 트위터를 만들라고 권했던 미국의 유명 천체물리학자 닐 디그래스 타이슨 박사와 트위터로 짧은 대화를 나눴다.
영웅 또는 배신자로 불리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타이슨 박사의 질문에 스노든은 "나는 그저 목소리를 내는 한 시민일 뿐"이라고 답했다.
그는 작년 1월 이사직을 맡은 미국 언론자유재단의 비밀 프로젝트 때문에 바쁘지만 "아직 고양이 사진을 찾아볼 시간은 있다"고 자신의 근황을 소개했다.
스노든은 또 미국 메릴랜드 주 포트 미드에 본부를 둔 NSA를 겨냥해 "포트 미드의 수천 명이 (스노든을 감시하기 위해) 방금 트위터를 개설했다"고 비꼬기도 했다.
이 계정은 당초 다른 사람이 보유한 채 쓰지 않는 상태였으나, 스노든은 인권단체 미국시민자유연맹(ACLU)을 통해 트위터와 접촉해 소유권을 받아왔다.
(워싱턴·서울=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