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7일 미국 플로리다주 마라라고 리조트에서 함께 걷고 있다. 웨스트팜비치/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의 7일(현지시각) 정상회담 뒤엔 양국의 공동성명도, 공동기자회견도 없었다. 양쪽은 각자 성명을 발표하는 것으로 회담을 마무리했다. 이는 지극히 이례적인 일로, 다양한 해석이 나오고 있다.
우선, 미-중 정상회담이 성과없는 ‘실패한 회담’이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있다. 내세울 게 없으니, 발표할 것도 없다는 얘기다. 지난 2월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미국 방문 때는 두 정상이 미-일 동맹과 대북 공조, 경제협력 등을 확인하는 공동성명을 낸 바 있다.
하지만 이번 회담이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시진핑 주석과의 정상회담을 일반적 관례보다 이르게 개최한데다 ‘상견례’ 성격이 강했던 만큼, 미-중 사이의 여러 이슈들에 대한 구체적 합의가 어려웠을 것라는 풀이도 있다. 이런 상황에 비춰보면, 공동성명이 나오지 않은 것을 두고 실패로 단정하거나 예외적인 사례로 보긴 어렵다는 것이다.
실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취임 뒤 첫 미-중 정상회담이었던 2013년 캘리포니아주 서니랜즈 회담도 이번과 엇비슷한 상황으로, 공동성명은 나오지 않았다. 다만, 당시에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시 주석이 회담 뒤 기자들의 질문을 받는 시간을 따로 마련해 사실상 공동기자회견을 했던 반면, 이번엔 두 정상이 모두 기자회견을 하지 않았다.
하지만 발표할 내용이 아주 없지 않았는데도 공동성명을 발표하지 않은 것은 공개될 경우 미칠 부정적 파급력을 우려했기 때문이라는 견해도 있다. 이희옥 성균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발표를 했을 때 생기는 구속력이 서로의 행동을 제약하는 측면이 있고 갈등으로 비화될 예민한 사안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해석했다.
회담 결과에 대한 공개 수위가 낮은 것은 중국 지도자들이 해외 언론 앞에 서는 것을 전통적으로 꺼리는 데다가, 선거 때부터 대중매체와 각을 세워온 트럼프 대통령의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졌을 수도 있다. 주류 언론에 피해의식이 있는 트럼프 행정부는 버락 오바마 행정부와 달리 정상회담 관련 자료나 합의내용 공개에 아주 소극적이다.
베이징/김외현 특파원, 김지은 기자
oscar@hani.co.kr